문화·스포츠 문화

'시대의 춤꾼' 이애주 선생 1주기… 생전 저술·구술 모아 3권의 책으로

'승무의 미학'·'고구려 춤 연구'·'춤꾼은 자기 장단을 타고난다'

27일 경기도 과천에서 출판기념회와 학예굿·예술행사도 열려

이애주 선생의 생전 저술과 구술을 담은 책 3권. 사진 제공=이애주문화재단이애주 선생의 생전 저술과 구술을 담은 책 3권. 사진 제공=이애주문화재단




‘시대의 춤꾼’ 고(故) 이애주 선생의 1주기를 맞아 생전 저술과 구술이 총 3권의 책으로 나왔다.



이애주문화재단은 23일 선생의 생전 저술인 ‘승무의 미학’, ‘고구려 춤 연구’와 구술을 채록해 만든 ‘춤꾼은 자기 장단을 타고난다’를 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나온 책들은 선생이 생전 남긴 춤에 대한 연구 논문과 글들을 모아서 만들었다.

관련기사



‘승무의 미학’은 승무 형성의 역사와 승무 춤사위의 원리, 철학적 의미를 정리했다. ‘고구려 춤 연구’는 그의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으로,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우리 민족 몸짓을 통해 고구려 춤의 미적 가치와 특성, 상징체계를 밝혔다. 선생이 생전 구술로 남겼던 생애사를 정리한 글과 사진 등은 ‘춤꾼은 자기 장단을 타고난다’로 엮었다.

이애주 선생은 국가무형문화재인 승무의 보유자로 우리 전통춤의 태두 한성준과 그의 수제자 한영숙을 사사했다. 1987년 7월 고 이한열 열사의 영결식에서 운구 행렬을 이끌며 한풀이 춤을 춰 ‘민주화 춤꾼’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2019년 9월부터 경기아트센터 이사장을 맡았으며 작년 5월 10일 향년 74세로 별세했다.

한편 재단은 27일 경기도 과천시에서 출판기념회와 함께 우리춤에 대한 고인의 고민과 예술철학을 헤아려보는 ‘학예굿’을 연다. 학예굿은 학문과 예술이 한 장소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행사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