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균 현대중공업(329180) 사장이 최근 철강사와의 조선용 후판 협상에 대해 이례적으로 불편한 심정을 드러냈다. 이 사장은 최근 사내 임직원 대상의 1분기 경영 현황 설명회에서 “포스코 등 철강사들이 강재 가격 인상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며 “현대중공업도 앞으로 (원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업의 호황에도 중간재 가격이 너무 올라 선박 수주를 늘려도 별로 남는 게 없기 때문이다. 철강사도 할 말은 많다.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 급등에 비해 후판 등의 중간재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조선·철강뿐 아니라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ESS)사, 배터리·완성차 할 것 없이 전 산업에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중간재·최종재 가격 협상이 진통을 겪고 있다.
코로나19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으로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가격 협상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기업들은 속수무책으로 끌려가는 모습이 나오고 있다.
최근 배터리 업체들과 ESS 업계는 원자재 가격연동제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373220)·삼성SDI(006400) 등 배터리 기업들은 현대일렉트릭·효성·LG전자(066570) 등 국내 ESS 기업들과 가격연동제 도입 협상을 시작하고 있다.
이미 배터리 기업들과 완성차 업체들은 대부분 가격연동제를 수용하고 있는 가운데 ESS 업체들은 시장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연동제 도입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ESS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은 수요가 많고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어 완성차 업체들이 대부분 가격연동제를 받아들이지만 ESS 기업들은 시장 규모가 작고 단발성 사업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협상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가격연동제가 적용되면 원자재 가격이 오를 경우 오른 만큼 ESS 업체가 부담해야 한다. 올해 내내 배터리 양극재 소재인 리튬·코발트·니켈 가격이 급등했고 앞으로도 상승 추세가 예상되면서 ESS 업체들은 난감한 입장이다.
철강사와 조선사도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의 급등으로 상반기 내내 갈등을 빚어왔다. 이들 업계는 통산 매년 두 번씩 후판 가격 협상을 한다. 선박에 쓰이는 후판은 조선 생산원가의 20~30%가량을 차지한다.
최근 양 업계는 최근 톤당 10만 원 인상으로 합의를 봤지만 타결이 될 때까지 예상보다 3~4개월이 더 걸렸다. 당초 3월께 협상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례적으로 5월 중순까지 협상이 늘어졌다. 원자재뿐 아니라 조선 호황으로 최종재(선박)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하면서 가격을 협상하기 매우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조선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두 차례 후판 가격이 인상됐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 돌발 변수가 많아 다음 협상에서는 강재 가격을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철강사들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상반기 후판 가격 인상은 소폭에 그쳤다”며 하반기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것임을 예고했다.
완성차와 배터리 기업도 가격 협상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기차의 경우 배터리 가격이 전체 생산원가의 40%가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협상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배터리 기업들의 원가 부담 요구에 대해 완성차 기업들은 자동차 수요가 많은 점을 감안해 인상 요청을 일단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완성차 기업들은 니켈·리튬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 폭이 워낙 커 원자재 선매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