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첨단 기술로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 나서는 부산

부산해양수산청·부산항만공사·해양환경공단 등 참여

ICT 기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체계 도입 등 추진

부산시청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부산시청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




부산시가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처리 방안을 추진한다. 연평균 7500여톤에 달하는 해양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처리해 친환경 생태도시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는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양진흥공사, 남항관리사업소와 함께 해양쓰레기 감축과 처리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한다고 26일 밝혔다.



우선 시는 인공지능(AI) 등 첨단 ICT를 기반으로 하는 해양쓰레기 자동분석모니터링 체계를 도입해 해양쓰레기 발생 예측과 초기 대응을 강화한다. 또 선박에 드론을 달아 해양쓰레기를 감시하는 시범사업을 올 여름 개시하고 향후 기관별 해양쓰레기 발생량과 처리량을 공유해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대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내달부터는 하천을 통해 유입되는 해양쓰레기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하천쓰레기 해양 유입 방지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특히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해양쓰레기 시민 캠페인을 추진하고 북항과 남항 일대를 중심으로 ‘해양쓰레기 집중 수거 기간’을 운영해 수거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올해 부산시와 산하 구·군은 해양쓰레기 수매 및 정화 등에 63억 원을 투입할 정도로 해양쓰레기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는 지리적 특성에다가 다양한 항만·수산시설이 존재하고 해양레저 활동도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해양쓰레기 발생과 유입이 많기 때문이다.

또 해양쓰레기의 특성상 발생원의 추적이 어렵고 해류 흐름에 따른 이동 양상이 다양하다는 점도 대응책 마련을 어렵게 하고 있다. 남해와 동해를 끼고 있고 관할 면적이 넓어 수거 작업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도 부담이다. 최근 3년간 부산 연안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2만3000톤으로 한해 평균 8000여톤의 쓰레기가 처리됐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와 코로나19 확산세 감소에 맞춰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관광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효율적인 해양쓰레기 대책을 마련하고 깨끗한 해양자원 확보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