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노동자 임금 올랐지만…물가상승에 '발목'

노동소득분배율 62.9%…전 분기와 비슷

임금상승률, 물가상승률 따라잡지 못해

미국 자동차업체 포드 시카고 조립공장. EPA연합뉴스미국 자동차업체 포드 시카고 조립공장. EPA연합뉴스




미국 노동자의 임금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물가 등으로 인해 국민총소득(GNI) 중 노동소득의 비중은 거의 늘지 않고 있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현지시간)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인용한 미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1분기 미국 노동소득분배율은 62.9%다. 이는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2019년 4분기의 62.7%와 비슷한 수준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국민소득 중에서 노동 소득인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노동소득분배율이 낮으면 경제성장의 과실이 임금으로 배분되는 비율이 낮아졌다는 것이다.



WSJ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2020년 상반기 기업소득이 급여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하면서 노동소득분배율 비중이 급상승했지만, 그해 하반기 경기가 회복되면서 다시 하락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노동소득분배율이 상승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기업 이익 증가 등이 제시됐다. 미국의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8.3%(전년 동월 대비)에 달했지만, 같은 달 미국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은 5.5% 상승했다. 임금이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 한 것이다.

미국 정부는 팬데믹 이후 직원을 해고하지 않도록 돕는 약 1조달러(약 1249조원) 규모의 급여 프로그램 혜택을 자국 내 기업에 지원했다. 이 돈은 기업의 이익 증가로 이어졌다.

미국의 진보 성향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소(EPI)의 조시 비벤스는 "일부 명목임금이 오르기는 했지만, 상승 속도가 물가상승률만큼 빠르지는 않다"고 주장했다.

크레디트스위스의 원저 자오는 "성장이 있고 강력한 노동시장이 있고 임금 (상승) 압박이 있다"고 분석하면서도, 노동시장 전반의 무게가 노동에 집중되면서 임금 상승과 물가 상승이 맞물리는 사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주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