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대선승리=지선승리' 또 통해…尹 정부 진짜 성적표는 2년뒤

尹 취임 초 여당에 힘 실어준 민심

민주당, 민심 훈풍 4년 만에 참패

국힘도 중도층 민심 놓치면 재심판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을 방문,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통령실윤석열 대통령이 31일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을 방문,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통령실




이번 6·1 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은 ‘정권 안정론’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후 불과 한 달여 만에 열린 만큼 새 정부의 국정 운영에 전폭적으로 힘을 실어주자는 여론이 우세했다. 여소야대 상황에서 ‘협치’의 필요성이 대두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의 ‘발목 잡기’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에 국민은 일단 여당에 힘을 실어줬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이번 선거의 결과가 국민의힘에 대한 일방적 지지의 결과는 아니라는 평가도 있다. 과거 문재인 정부의 실정에 대한 반사이익의 측면도 강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윤석열 정부의 실력은 이제부터 나타나게 되는 만큼 총선까지 남은 2년, 그 결과에 따라 윤석열 정부의 전반기 성적도 결정될 수밖에 없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진단이다.

1일 오후 11시 30분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17개 광역 시도지사 개표 결과와 KEP(KBS·MBC·SBS) 공동 출구조사를 종합하면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은 17곳 광역단체장 중 13곳에서 승리할 것으로 나타났다. 경합지인 대전과 세종·경기 3곳의 결과에 따라 12곳에서 승리한 2006년 이후 16년 만에 최대 승리다. 민주당이 14곳을 싹쓸이했던 4년 전의 참패를 설욕하는 결과다. 당초 국민의힘 지도부가 목표로 잡았던 최소 9곳보다도 많은 승리가 확실시되자 국민의힘에서는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들이 나왔다.



국민의힘이 경합 지역까지 석권할 경우 1995년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최대 승리를 하게 된다. 대선 직후 치러진 선거에서 여당 승리의 공식이 재확인된 셈이다. 실제 윤 대통령 취임 이후 20여 일 만의 전국 단위 선거로 취임 컨벤션 효과가 선거 전체를 지배하는 경향도 컸다. 한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 이후 윤 대통령 지지율은 50%를 상회하며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국민의힘 정당 지지율 동반 상승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선 직후 치러진 선거에서 여당이 승리하는 결과는 공식 아닌 공식이 됐다. 대표적으로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정권을 잡고 집권 초 80%대 지지율을 기록하는 상황에서 민주당은 17곳 중 14곳을 휩쓸며 손쉬운 승리를 거뒀다.

관련기사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은 정권 견제론과 균형론을 앞세워 뒤집기를 시도했지만 지지층 결집에도 실패했다. 2018년 최종 투표율인 60.2%보다 9.3%포인트 낮은 50.9%의 투표율도 민주당 지지층이 투표장을 찾지 않은 게 최대 원인으로 꼽혔다. 이번 선거 투표율은 역대 지방선거 투표율 최저치를 기록한 2002년 제3회 지방선거(48.8%) 이후 가장 낮았다.

이강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장은 “대선 이후 민주당 지지자들의 사기가 떨어지며 투표율이 낮아진 상황으로 이어졌다”며 “막판 위기감이 고조되며 결집했던 대선과는 달리 지방선거 과정에서 지지층을 끌어모을 동기부여가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심지어 당 내홍까지 덮쳤다. 선거 막판 민주당은 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과 윤호중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의 ‘86(80년대 학번, 60년대생) 용퇴론’ 등 당 혁신안을 둘러싸고 내부 갈등 상황이 연출됐고 막판 꺼내든 ‘김포공항 이전’ 카드도 낮은 실현 가능성이 점쳐지며 역풍을 불러왔다. 반전 카드였던 ‘이재명 효과’도 미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추가경정예산 통과 과정에서 불협화음을 낸 것도 ‘발목 잡기’ 프레임을 작동시켜 스윙보터인 중도층과 무당층 사이에서 정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여론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과 여당의 입장에서는 이번 선거의 결과가 고무적일 수밖에 없다. 정부조직법 개편, 예산안 등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여론의 힘으로 다수당인 야당과 맞서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정 동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년 뒤 총선에 대한 기대감도 높였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이번 선거 결과로 국민의힘은 지역 조직 등 당 조직을 다시 재정비할 기회를 마련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번 압승이 국민의힘에 대한 기대감보다 윤 대통령의 당선에 따른 후광효과, 전 정부에 대한 반사이익의 성격이 짙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2018년 민주당이 압승을 하고도 4년 만에 차가운 민심을 경험했던 것처럼 국민의힘 역시 내부 갈등과 권력에 취할 경우 다시 심판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국민의힘은 추경 통과 이외에는 아직 보여준 것이 없다”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 등 문제나 집무실 사진 유출 등에 있어 중도층의 민심을 유의 깊게 살펴야 2년 후 총선 역시 기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