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설립된 센시는 점자책 등 시각장애인을 위한 제품을 개발한다. 이 기업은 일반 기업처럼 영리를 추구하기 보다 취약계층 채용과 같이 공익을 위하는 사회적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은 여느 영리기업 보다 인건비, 자재비 등 자금 마련이 더 큰 어려움이다. 사회적기업은 영업이익이 발생하면, 법 상 3분의 1은 재투자해야하기 때문이다. 사회적기업의 재정 지원도 인건비의 경우 3년, 사회보험료는 4년 후면 끊긴다. 취약계층을 고용한만큼 이들 기업의 생산성도 그만큼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 결과 사회적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영업적자 상태다. 적자기업이 민간 투자 유치가 어려운 것은 당연한 결과다. 이 때 고용노동부가 나섰다. 고용부는 2017년 센시에 사회적 투자조합으로 3억원을 투자했다. 그 결과 센시의 작년 말 매출액은 70억원으로 투자 당시 대비 20배 이상 늘었다.
고용부와 사회적기업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들 기업은 남몰래 착한 기업을 돕는 '키다리 아저씨'인 셈이다.
고용부는 여덟번째 사회적기업 투자조합이 결성됐다고 2일 밝혔다. 2011년부터 시작된 사회적기업 투자조합은 정부가 자금을 댄 모태펀드에 민간투자를 더해 사회적기업으로 투자하는 방식이다. 그동안 고용부는 305억원을, 민간은 163억원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50여곳의 사회적기업은 매출액이 585억원에서 1843억원으로 3배 가량 뛰었다.
이 투자조합의 숨은 공신은 민간이다. 공익을 위해 투자를 하는 정부(고용부)와 달리 민간은 수익이 나지 않는 곳에 투자하기 쉽지 않다. 민간 입장에서는 고수익이 담보되지 않는 사회적기업에 투자할 유인이 너무 낮은 것이다. 다시 말해 사회적 투자조합에 참여한 민간은 공익을 위한다는 의미로 동참한 것이다. 그동안 동참기업은 현대차, 삼성화재, 우리은행 등이다. 여덟번째 투자조합에는 벽산이 이름을 올렸다.
전문가들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조언한다. 고용부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은 작년 하반기 기준 3000여곳이다. 재작년 말 기준 2777곳의 근로자를 보면 5만5407명 가운데 3만3206명이 장애인, 고령자 등이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생존율은 1년 99%에서 5년이 되면 79.7%, 7년이 되면 74%로 뚝 떨어진다. 일반기업의 5년 생존율(31.2%) 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고용부 관계자는 “사회적기업은 사익을 추구하는 일반 기업처럼 경제적 가치로 평가할 수 없다”며 “취약계층 고용과 같은 사회적 역할을 고려할 때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