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러 국채이자 23억 미지급…장기 제재에 '버티기' 한계 몰리나

■우크라 전쟁 100일

이달 중 공식 디폴트 가능성도

4월 경제성장률 마이너스 전환

30년만에 2년연속 경제위축 조짐

AFP연합뉴스AF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전쟁이 3일로 100일째를 맞는 가운데 서방의 제재를 받는 러시아가 190만 달러(약 23억 8000만 원) 상당의 국채 이자 지불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지급 이자의 규모가 작아 공식 디폴트(채무 불이행)로 볼 수는 없지만 계속되는 제재 압박으로 이달 중 러시아의 디폴트가 확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신용부도스와프(CDS) 계약을 관할하는 신용파생상품결정위원회(CDDC)는 러시아가 만기 국채에 대한 원리금을 뒤늦게 상환하며 발생한 추가 이자 190만 달러를 미납함에 따라 '지급 불능'이 발생했다는 판정을 내렸다. CDDC는 6일 회의를 열고 후속 절차를 논의한다.



앞서 러시아는 4월 4일 만기 국채에 대한 원리금을 5월 2일까지 상환하지 못했다. 이후 원리금은 갚았지만 30일의 미지급 기간에 발생한 추가 이자 190만 달러는 지불하지 않았다. 이에 해외 채권자들은 추가 이자 미지급을 디폴트로 볼 수 있는지 CDDC에 문의했다. CDDC가 디폴트로 인정할 경우 채권자들은 CDS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관련기사



시장에서는 규모가 크지 않은 이번 미지급으로 당장 연쇄 디폴트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지만 글로벌 경제에서 러시아의 고립이 본격화해 공식 디폴트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4월 만기 채권 원금을 상환했고 미지급 이자 규모도 작다는 것은 이번 CDDC의 결정이 러시아의 디폴트를 확대하지는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면서도 "미국 정부가 자국 채권자들에 대한 러시아의 국채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를 종료한 만큼 대다수 투자자들은 공식 디폴트를 시간 문제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FT는 "지난주 만기 도래한 2개 국채의 유예 기간이 종료되는 이달 26일 디폴트가 확정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러시아 경제도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이날 러시아 경제부는 4월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소매판매는 9.7%나 줄어 1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블룸버그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 경제는 30년 전 소련 붕괴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위축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와중에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세는 계속되고 있다.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주)의 요충지인 세베로도네츠크를 집중 공격하고 있는 가운데 올렉산드르 스트리우크 세베로도네츠크 시장은 이날 “러시아군이 세베로도네츠크의 60%를 장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