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130년 전 초대 주미공사 박정양 美 활동사진 발견

조지 워싱턴 사저 방문 모습

기증자, 경매 사이트서 구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2일(현지 시간) 초대 주미 공사관원들의 미국 내 활동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무관 이종하(앞줄 왼쪽부터), 주미 공사 박정양, 수행원 화가 강진희, 서기관 이하영. 사진 제공=주미대한제국공사관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2일(현지 시간) 초대 주미 공사관원들의 미국 내 활동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무관 이종하(앞줄 왼쪽부터), 주미 공사 박정양, 수행원 화가 강진희, 서기관 이하영. 사진 제공=주미대한제국공사관




초대 주미 전권공사(1887~1888년)를 지낸 박정양의 미국 활동을 담은 사진이 발견됐다. 이는 미국에서 활동한 우리나라 공식 외교 관원의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보인다.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2일(현지 시간) 간담회를 열고 주미 공사관원들의 미국 내 활동을 담은 2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현재까지 주미 공사관원들의 활동은 기록과 그림으로만 전해진 만큼 사진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개된 2장의 사진 중 한 장은 박정양이 공사관원들과 함께 1888년 4월 26일 미국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의 사저 마운트버넌을 방문한 모습을 담고 있다. 당시 마운트버넌을 찾은 많은 서구인과 함께 포착된 조선인 공사관원은 박정양을 포함해 무관 이종하와 수행원인 화가 강진희, 서기관 이하영 등 4명으로 모두 전통 한복에 갓을 착용했다. 이 사진은 2020년 기증자인 이사벨 하인즈만이 경매 사이트에서 구입, 마운트버넌 워싱턴도서관에 전달했으며 도서관 측에서 2021년 공사관 측에 고증을 의뢰해 존재가 확인됐다.



공사관에 따르면 박정양은 1887년 8월 초대 공사에 임명됐지만 중국의 공사 파견 반대 및 배편을 통한 장기 여행 등으로 1888년 1월 1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했다. 콜레라 유행으로 바로 하선하지 못해 워싱턴DC에는 같은 해 1월 9일 당도했고 같은 달 17일 그로버 클리블랜드 당시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전달했다. 하지만 박정양은 계속되는 청나라의 압력에 1888년 귀임했고 개항기 총리대신서리와 궁내부서신대리 등을 지내며 독립협회 등을 지원했다.

관련기사



주미대한제공국사관이 2일(현지 시간) 초대 주미 공사관원들의 미국 내 활동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박정양의 귀국으로 공사대리를 맡고 있던 이하영(왼쪽부터), 이채연의 부인, 이채연, 호러스 알렌과 알렌의 딸, 이완용, 이완용의 부인. 사진 제공=주미대한제국공사관주미대한제공국사관이 2일(현지 시간) 초대 주미 공사관원들의 미국 내 활동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박정양의 귀국으로 공사대리를 맡고 있던 이하영(왼쪽부터), 이채연의 부인, 이채연, 호러스 알렌과 알렌의 딸, 이완용, 이완용의 부인. 사진 제공=주미대한제국공사관


또 다른 사진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등을 했고 을사오적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이완용과 이완용의 부인, 역시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이하영 및 4대 주미 전권공사를 지낸 이채연과 이채연의 부인의 모습이 담겼다. 이들 모두 한복을 갖춰 입었고 손에는 우산을 들고 있었다.

사진에는 공사관의 서기관으로 근무했던 호러스 알렌과 그의 딸도 포함됐다. 이완용은 1887년에 주미 참찬관으로 임명돼 전권공사 박정양, 서기관 이하영 등과 함께 부임했고 1888년 12월부터 1890년 10월 귀국 때까지는 임시대리공사를 지내기도 했다.

한철호 동국대 교수는 “당시 고종의 지시에 따라 미국 현지의 사정·제도·문물 등 실상을 파악하던 박정양 공사 일행의 현지 활동 모습이 사진을 통해 처음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김종헌 배재대 교수는 “박정양이 그의 문집에서 조지 워싱턴을 여러 차례 언급하고 마운트버넌 방문을 중요하게 서술한 것은 조선의 자주독립을 위한 노력 때문”이라며 “귀국 후 독립협회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