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8보다 더 크다…‘길이 5m’ 신형 그랜저, 연말 출시[김지희의 카스토리]

7세대 신형 그랜저 전장 5035㎜

대형車 선호 추세에 전작 대비 45㎜ 늘려

수입 준대형 세단·기아 K8보다 긴 차체

현대차 그랜저. 사진 제공=현대차현대차 그랜저. 사진 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가 올해 말 선보일 예정인 준대형 세단 그랜저의 7세대 완전변경 모델이 길이 5m를 넘겨 출시된다. 주요 수입차 브랜드의 준대형 모델은 물론 현대차(005380)그룹 내 동급 모델인 기아(000270) K8보다 크다. 자동차 시장의 고급화·대형화 추세에 발맞춰 신형 그랜저도 웅장함을 더하고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신형 그랜저의 전장(길이)은 5035㎜로 이전 모델(4990㎜) 대비 45㎜ 길어졌다. 차량 실내 공간을 좌우하는 휠베이스도 10㎜ 늘어나 2895㎜가 됐다. 전폭은 전작과 동일한 1875㎜를 유지했고, 전고는 3㎜ 줄어 1467㎜로 확정됐다.

관련기사



그랜저의 전장이 5m를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준대형 세단 G80보다 크고, 동일 플랫폼을 공유하는 기아 K8과 비교해도 20㎜ 길어 경쟁 차종의 추격을 확실히 따돌린다는 의지다. 국내에서 인기가 높은 수입 준대형 세단 중에도 길이가 5m를 넘는 차량은 없는 상황이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와 BMW 5시리즈의 전장은 각각 4940㎜, 4965㎜로 그랜저의 6세대 모델보다 짧다. 이번 완전변경을 통해 몸집을 키우면서 전장 차이가 100㎜도 채 되지 않았던 바로 아래 세그먼트인 쏘나타·K5 등과도 확실한 차별화를 이룰 수 있게 됐다.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계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고급화·대형화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팬데믹으로 원자재 수급이 불안정해지자 고수익 차종을 중심으로 판매 라인업을 꾸려 수익성을 끌어올린 탓이다. 완전변경을 거칠 때마다 차체 크기를 키우는 게 드문 일은 아니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이 같은 추세가 한층 뚜렷해졌다. 반대로 수익성이 낮은 준중형·중형급 모델의 입지는 계속 줄어드는 양상이다. 현대차그룹 내에서도 최근 들어 K3·쏘나타 등 상대적으로 작은 차종들에 대한 단종설이 잇따르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북미 시장에서도 쏘나타와 K5 등의 판매 중단 가능성이 제기된다. 쏘나타는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에서도 연간 판매량이 10만 대 이하로 낮아지며 부진하고 있다.

최근 개발을 마친 7세대 그랜저는 올 10월부터 선행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후 11월부터는 본격적인 양산을 개시하고 연말께 국내 시장에 출격한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