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SRBM 8발 발사…전술핵 무기 3종 섞어 쏘기 시험했나

합참 5일 "北, 평양 순안 등에서 동해상 발사"

한미 해군 연합훈련 종료 하루만의 도발

한미 추가 발사대비 만반의 대비태세 유지중

제원은 아직 미상…선제핵 공격능력 과시한듯

북한이 과거 구경 600mm의 대구경 방사포 KN-25를 시험발사하는 모습. 운래 북한 방사포는 다연장로켓무기로 치부돼 왔으나 대구경 방사포의 경우 위력과 정밀도가 기존 방사포보다 향상돼 사실상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이 5일 오전 8발 쏜 SRBM 중에도 대구경 방사포가 포함됐는지 주목된다. /연합뉴스-조성중앙통신북한이 과거 구경 600mm의 대구경 방사포 KN-25를 시험발사하는 모습. 운래 북한 방사포는 다연장로켓무기로 치부돼 왔으나 대구경 방사포의 경우 위력과 정밀도가 기존 방사포보다 향상돼 사실상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이 5일 오전 8발 쏜 SRBM 중에도 대구경 방사포가 포함됐는지 주목된다. /연합뉴스-조성중앙통신




북한이 5일 여러 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동해상으로 발사하며 도발에 나섰다.



합동참모본부는 5일 “우리 군은 오늘 오전 9시 8분경부터 9시 43분경까지 북한 평양 순안 일대 등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SRBM 8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우리 군은 추가 발사에 대비하여 감시 및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북한이 과거 공개한 신형전술유도탄 KN-23의 시험발사 장면.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북한이 과거 공개한 신형전술유도탄 KN-23의 시험발사 장면.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합참은 아직 구체적인 탄종과 비행 제원 등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여러 발을 쏜 것으로 미뤄볼 때 같은 종류의 SRBM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SRBM을 섞어 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서로 다른 종류의 탄종이라면 유사시 다양한 SRBM에 소형 전술핵탄두를 탑재해 대남 선제공격을 할 수 있음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풀이될 수 있다. 북한이 유사시 소형 전술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요 SRBM은 속칭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북한 발표 명칭은 ‘신형전술유도탄’)과 북한판 에이테큼스로 불리는 KN-24, 북한이 자칭 ‘초대형방사포’로 명명한 KN-25 등이다.

북한의 이번 도발은 한미가 일본 오키나와 근방에서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를 동원한 해군 연합훈련을 마친 후 하루만에 이뤄졌다. 다만 북한이 미국을 겨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 아닌 SRBM을 쏜 것은 대북제재 강화 동참의 압박을 받고 있는 중국, 러시아 등의 입장을 고려해 도발수위를 조절하면서도 대남 위협은 계속 고조하시키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