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70대 들어 확 늙으신 부모님…바로 '이것' 때문

英 연구진, 70 ~ 80대까지 혈구 분석 결과 공개

“체내 혈구의 다양성이 급감… 심각한 노화 발생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연합뉴스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연합뉴스




일흔이 되면 사람이 갑자기 늙는 이유가 혈액에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



1일(현지시간)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 웰컴 생어 연구소의 피터 캠벨 박사와 연구진은 웰컴-MRC 케임브리지 줄기세포 연구소 연구진과 함께 0세부터 70~8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혈구를 연구했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보도했다.

연구진은 70세 무렵에 체내 혈구의 다양성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점을 포착해 이를 노화의 원인을 밝힐 단서라고 말했다.

조사결과 65세 이하 성인의 골수에는 다양한 종류의 줄기세포 2만~20만개가 광범위한 종류의 적혈구와 백혈구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문제는 65세 이후부터 뒤바뀌다는 것이다. 해당 연령대부터 겨우 10~20 종류에 불과한 줄기세포에서 혈구 절반이 생산됐다.



연구진은 이것이 체내 혈구의 다양성이 떨어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있다.

관련기사



이전 과학자들은 노화는 세포에 돌연변이를 발생해 신체 기능이 천천히 저하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연구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것은 맞지만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의 경우 무해하다고 봤다. 다채롭지 않은 줄기세포의 성장이 돌연변이로 촉진돼 저질 혈구가 만들어지는 상황이 많아지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고 봤다.

체내에 다양한 줄기세포가 존재하는 30~40대에는 일부 줄기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더라도 신체에 큰 영향은 없지만, 줄기세포 종류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70세 이상부터는 빠르게 성장하는 일부 줄기세포가 혈구 생산을 지배하게 돼 건강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캠벨 박사는 "사람이 70세 이후에 왜 갑자기 허약해지는지 이 같은 줄기세포의 급격한 성장을 통해 드러난다"고 말했다. 그는 노령에 빠르게 성장하는 혈액 줄기세포가 빈혈 등을 유발하고 의학적 치료나 감염에 대한 회복력을 떨어뜨린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된 단서를 토대로 인류의 영원한 난제로 여겨진 노화에 대한 추가 연구에 들어갈 예정이다.

엘리사 로렌티 웰컴-MRC 케임브리지 줄기세포 연구소 조교수는 "노화를 늦추는 요인도 있을 수 있다"며 "질병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노화를 촉진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캠벨 박사와 연구진은 해당 변화가 다른 장기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된다면서, 사람이 늙으면 왜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피부에 생긴 상처가 이전보다 더 느리게 회복되는지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줄기세포의 다양성이 노화를 발생한다는 주장한 이번 연구는 과학저널 네이처에 올라갔다.


김형민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