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주·전남 화물노동자도 총파업 동참…물류 비상

광주 광산구 하남산단·전남 광양항서 각각 총파업 출정식

화물연대 총파업 /사진=연합뉴스화물연대 총파업 /사진=연합뉴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안전운임제 유지·확대를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광주·전남 화물 노동자들도 총파업에 동참했다.



광주와 전남 화물연대는 7일 오전 10시 광주 광산구 하남산단로와 전남 광양시 광양항에서 각각 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이번 파업에는 광주 1500여명, 전남 3000여명 이상의 화물 노동자들이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평균 경유가가 2000원을 넘었고 물가가 치솟으면서 모든 비용이 올라 화물노동자는 벼랑 끝에 놓여있다"며 "20년간 투쟁해 만든 안전운임제는 제한적이고 일몰 기한마저 닥쳐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어 "일몰제 폐지와 제도 확대 없이는 도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설득해왔는데도 정부는 무응답으로 일관하며 책임을 방기했다"며 "안전 운임제를 모든 차종, 모든 품목으로 확대하고 일몰제를 폐지하기 위해 끝까지 싸워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정식을 마친 광주 화물연대 노동자들은 곧바로 광주 사무실까지 2.4km 구간을 행진했다.

총파업으로 당장 물류 대란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장기화할 경우 물류는 물론 공장 생산 라인까지 멈출 수 있어 당국은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광양항을 관리하는 여수광양항만공사도 화물연대의 파업에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재 광양항의 화물 장치율(컨테이너를 쌓아 보관할 수 있는 능력)은 61% 수준이어서 수입이나 환적 물량 처리에는 무리가 없는 상황이다.

다만 화물연대가 주요 지점에서 거점 투쟁을 벌일 경우 수출할 물량이 항만에 들어오지 못해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항만공사 측은 항만 내부에 예비 장치장을 확보하는 한편, 육상 수송을 위해 군과 협의하고 있다.


광주·광양=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