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첨단 5G 기술로 자갈치시장 안전관리 나선다

과기부 공모사업 선정…국비 16억원 등 총 20억원 투입

5G·AI·IoT센서·3D모델링 등 디지털트윈 신기술 활용

부산 자갈치시장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부산 자갈치시장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




부산의 명물인 자갈치시장에 5세대(5G)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안전 통합관제시스템이 구축된다.



부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2022년 5G 기반 디지털 트윈 시설물 안전 실증 과제’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자갈치시장에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고 7일 밝혔다.

관련기사



이번 사업은 5G 기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한 정부·지자체 소유의 공공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실증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국비 16억 원과 민간자본 4억 2600만 원을 실증장소인 자갈치시장에 투입한다.

먼저 시는 5G 기반 사물인터넷(IoT) 단말기를 통해 자갈치시장에 유입되는 해수와 대기오염도를 실시간 수집·분석하고 취수·공조시스템으로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의 탈출 경로를 제공하고 국제표준형 3차원(3D) 디지털 트윈 모델링과 데이터 구축 등으로 호환성을 확보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데이터 수집과 통합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데이터 서버 기반의 융합 서비스로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등 실시간 통합관제서비스를 구축한다. 시는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을 중심으로 삼우이머션, 네오텍, 부산시설공단 등 부산지역 중소기업과 기관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공모 사업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유동인구가 많은 자갈치시장의 노후화에 따른 대형 재난·재해를 예방하는 동시에 더 많은 방문객을 유치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