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파업 첫날 시멘트 업계 153억 손실…건설 일용직도 불안”

시멘트 업계 출하 평년 대비 10% 그쳐

건설 현장 관계자 파업 장기화 우려

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인 8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입구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비조합원의 트럭을 세운 뒤 운송을 멈춰 총파업에 힘을 보태달라는 요청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인 8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화물터미널 입구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비조합원의 트럭을 세운 뒤 운송을 멈춰 총파업에 힘을 보태달라는 요청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총파업 사태를 두고 정부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시멘트 업체들이 파업 첫날 150억원의 손실을 입었다는 추산이 나왔다. 파업이 지속될 경우 시멘트 뿐만 아니라 레미콘, 일용직 등 건설 관련된 업종들이 줄줄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일에 이어 이날도 시멘트 출하가 전면 중단된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전일 화물연대의 물리적 봉쇄가 있었던 단양, 제천 등 내륙사 공장의 경우 직접적 봉쇄는 풀린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노조 측에서 가하는 일종의 압박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운송을 포기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해안사도 사정은 비슷해 물리적 봉쇄가 없음에도 시멘트 출하 작업은 사실상 멈췄다. 업계 관계자는 “출입구를 막아서는 등 직접 봉쇄 방식은 없지만 화물연대가 부담돼 이번 주 운송은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시멘트 업체의 손실은 커지고 있다. 업계는 전일 파업으로 시멘트 출하가 평소 대비 10% 이하로 떨어졌다고 본다. 예년 일 평균 18만톤 물량을 내보내던 것에서 전일 1만 5,500톤으로 줄었다는 추산이다. 이에 1톤 당 9만3000원으로 가정할 때 하루 매출 손실이 153억원에 이른다는 계산이다. 시멘트협회 측은 “화물연대 파업이 지속될 경우 1주일 뒤면 피해 규모가 1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레미콘사들도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수도권 일부 업체는 시멘트 재고가 바닥나면서 생산을 중단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 업계 관계자는 “파업이 멈추지 않으면 내주부터 공사가 중단되는 사례가 잇따를 수도 있다”며 “이번 파업으로 시멘트, 레미콘, 건설 일용직 등 여러 분야에서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