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남태평양 이어 중앙아시아 간 中 외교부장 "우리는 운명공동체"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회의

일대일로·인재 교류 등 협력 강화 제안

왕이(오른쪽)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진베크 쿨루바예프 키르기스스탄 외무장관. 신화연합뉴스왕이(오른쪽)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진베크 쿨루바예프 키르기스스탄 외무장관. 신화연합뉴스




중국이 남태평양에 이어 중앙아시아와 협력 강화에 나섰다.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8일 제3차 중국-중앙아시아 5개국 외교장관 회의를 열고 중국과 중앙아시아 간 협력을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중앙아시아 5개국은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이타.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부장은 이날 회의에서 "현재 세계는 100년만의 변혁과 세기적인 전염병, 우크라이나 위기 등으로 국제 정치·경제·안보 시스템이 흔들리며 변혁기를 맞았다"며 "어려움이 교차하는 세계에 맞서 중국과 중앙아시아가 어떤 관계를 맺을지, 어떤 중앙아시아를 건설할지는 우리가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과 중앙아시아는 서로 의지하고 돕는 밀접한 관계로 이미 어깨동무를 하고 함께 가는 운명공동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왕 부장이 제안한 협력 강화 방안은 △중국-중앙아 5개국 정상회의 체제 구축 △지방·싱크탱크·산업·투자·경제무역 협력 포럼 개최 △포스트 코로나19 경제회복 △일대일로 건설 △가스관 및 철도 사업 △카스피해 횡단 회랑 건설 △농업 협력 △인문·인재 교류 등이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왕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전날 카자흐스탄 수도 누르술탄에서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만나 지역 국가들을 강대국 분쟁에 참여시키고 국가를 강압하려는 외부 세력에 대한 경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실상 미국 등 서방세력에 맞서 또 다른 우호세력 구축에 나선 것이다.

왕 부장은 이 자리에서 "중국은 중앙아시아에서 지정학적 이익을 추구한 적이 없으며 외부 세력이 이 지역을 혼란시키는 것을 결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왕 부장은 특히 토카예프 대통령에게 '브릭스 플러스(+)' 참여를 제안하는 등 미국·영국·호주 안보동맹인 오커스(AUKUS)와 미국·일본·호주·인도 안보 협의체인 쿼드(Quad)에 이어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로 대중 압박을 강화하는 미국에 맞서 아군 확보에 주력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