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물류 비용 부담 완화" 부산시, 창고정보연계시스템 운영

창고 공급자, 수요자 간 연결 플랫폼 구축

오는 7월까지 2달간 시범 운영

부산시가 구축한 창고정보연계시스템 ‘창고 이음 플랫폼’./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가 구축한 창고정보연계시스템 ‘창고 이음 플랫폼’./사진제공=부산시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산업이 급성장한 가운데 부산시가 소규모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물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창고정보연계시스템을 운영한다.

부산시는 창고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창고 이음 플랫폼’을 구축해 다음 달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위치, 면적, 주취급물품, 저장환경, 이용가능 기간, 금액, 냉장·냉동창고 저장환경 등 창고정보를 취합해 창고 소유자와 수요자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보관부터 포장, 배송, 재고 관리, 교환·환불 등의 과정을 담당하는 풀필먼트(Fulfillment) 서비스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공급자는 간단한 인증을 통해 창고 정보를 손쉽게 등록할 수 있고 수요자는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용 신청까지 할 수 있다.

지역 물류기업에선 전자상거래를 위한 재고 관리와 배송을 위한 창고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창고정보 현황을 정리해 일괄 게시하는 것만으로도 공급자와 수요자에게 의미가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대기업 등의 거대 플랫폼이 유통망을 장악해 중소 물류기업이 종속되는 것도 막아줄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시범 운영 기간에 플랫폼 미비점을 보완하는 한편 창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확대해 8월부터 플랫폼을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물류비 인상으로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적절한 창고를 찾지 못해 비용부담이 늘어나는 우려를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물류비 인상으로 늘어난 소상공인의 비용을 줄이고 4차 산업의 발달로 다변화·증가하는 창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번 플랫폼을 기획했다. 특히 플랫폼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물류기업 자문, 시장조사, 소상공인 대상 설문조사 등을 통해 공급자·수요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다. 부산에는 현재 7661개 창고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