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車부품업계 "화물연대 파업탓 생존 위협…엄정한 법 집행 필요"

■車산업협동조합 호소문

"완성차 탁송하는 차주들

안전운임제보다 더 벌어"

단체행동 즉각 중단 촉구

8일 오후 충남 아산 현대자동차 출고장 앞 도로에서 화물연대 소속 노조원들이 완성차를 싣고 나오는 화물차를 막고 파업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8일 오후 충남 아산 현대자동차 출고장 앞 도로에서 화물연대 소속 노조원들이 완성차를 싣고 나오는 화물차를 막고 파업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동차 부품 업계 단체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파업과 물류 방해 행위에 우려를 표하며 단체 행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조합은 9일 발표한 호소문에서 “부품 업계는 코로나19와 반도체 공급 위기로 생산이 정체되는 상황에서 수익성까지 악화하며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런 와중에 화물연대가 단체 행동으로 부품 업체의 공급을 막고 완성차 생산 차질을 초래하는 것은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완성차는 약 3만 개의 부품을 조립해 생산한다. 부품 재고를 최소화하는 ‘적시 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부품을 하나라도 공급 받지 못하면 전체 생산이 중단돼 모든 부품사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조합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등 화물연대의 요구 사항에 대해 “자동차 업계의 물류를 담당하는 화물차주와는 관련이 없다”며 “완성차 탁송 화물차주는 안전운임제를 적용한 것보다 높은 운임을 보장 받아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른 업종의 이익을 위해 자동차 물류 종사자들이 피해를 입었고 부품 업계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고 있다”며 “고객들이 자동차를 계약한 후 몇 달을 기다리는 상황에서 신차 인도가 더 지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나아가 정부를 향해 엄정하고 신속한 법 집행을 촉구했다. 조합은 또 “화물연대가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조합원 차량이 공장에 들어가는 것도 막는 등 불법행위를 자행하고 있다”며 “자동차 산업과 영세한 부품 업체들이 파국에 이르지 않도록 엄정하게 법을 집행하라”고 호소했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