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월 모평 국어, 작년 수능보단 쉽지만 공통과목 어려워"

입시업계 "지난해 불수능보단 쉽지만 까다로워"

공통과목 독서 문항 16번, 문학 31번 등 어려워

6월 모의고사가 실시된 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 강북본원 문제분석 상황실에서 임성호 대표이사가 국어과 강사들과 이번 시험 문제를 분석하고 있다. 연합뉴스6월 모의고사가 실시된 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 강북본원 문제분석 상황실에서 임성호 대표이사가 국어과 강사들과 이번 시험 문제를 분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치러진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에서 국어영역이 지난해 수능보다는 쉽게 출제됐으나 공통과목에서 다소 까다롭게 출제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난해 수능보다는 다소 쉽지만 당시 수능이 어려웠기 때문에 이번 모평도 어려운 시험으로 봐야 한다"며 “공통과목 독서 파트에서 특히 어렵게 출제됐으며 선택과목은 지난해 수능보다 비교적 쉬웠다"고 밝혔다.



고난이도 문제로는 3점짜리 문항인 공통과목 독서 13·16번을 꼽았다. 또 공통과목인 문학이 지난해 수능보다는 비교적 쉽게 출제됐지만 31·34번 문제 등에서 선택지 표현이 까다로워 중위권이나 중하위권 학생들에겐 어렵게 느껴졌을 것으로 예상했다. 선택과목인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에서는 11문항 가운데 소위 ‘킬러 문항’은 없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임 대표는 “이번 국어 영역의 핵심 변별력은 선택과목보단 공통과목에서 결정 될 것”이라며 “공통과목이 어렵게 출제됐기 때문에 지금까지 학생들의 점수 패턴 상 이번 시험에서도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학생들이 ‘화법과 작문’ 학생들보다 표준점수가 높게 형성될 가능성이 많다”고 전망했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역시 “지난해 수능보다는 약간 쉽지만 난이도가 있는 편”이라며 “신유형이 없고 독서 영역에서 읽기 이론을 포함해 지문 4개를 유지하는 등 문제 구성이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학에서 7작품 중 3작품이 EBS와 연계됐지만 연계되지 않은 작품도 낯선 작품들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대성학원은 공통과목에서 다소 까다로운 문제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평이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김원중 강남대성학원 입시전략실장은 “2022학년도 수능보다 쉽고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보다도 약간 쉬워 전체적으로 평이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지난해 수능 국어의 불수능 논란 탓인지 전체적으로 지문의 정보 밀도가 높지 않고 문제도 대체로 평이해 수험생들은 어렵지 않게 읽고 풀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까다로운 문항으로는 공통과목 독서 16번을 꼽았다. 문학에서는 지문 내용의 빠른 독해에 어려움을 겪었을 경우 21번 문항 풀이가 까다로웠을 것으로 봤다. 이 밖에 31번, 33번 문항이 까다로운 문항으로 꼽혔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