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배달비가 5000원?…뿔난 소비자, 100만명 등 돌렸다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모두 이용자 감소

단건배달 서비스가 배달비 인상에 한몫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합뉴스




외식물가가 치솟는데다 배달비까지 인상되면서 배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가 급감하고 있다.



9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국내 배달 앱 3사의 이용자 수가 최근 두 달동안 100만 명 넘게 감소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IOS 기준 지난달 배달 앱 이용자 수도 2336만 명으로, 올해 3월 대비 113만 명이 감소했다.



앱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배달의민족 앱 월간이용자수(MAU)는 1994만 명으로, 전월 대비 25만 명 넘게 줄었다. 배달의민족 앱 MAU가 20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20년 5월 이후 처음이다.

관련기사



특히 올해 3월 대비 배달의민족에서만 86만 명의 이용자가 빠져 나갔다. 같은 기간 요기요 MAU는 765만 명으로 한 달 새 30만 명이 줄었고, 쿠팡이츠 MAU 역시 56만 명 감소했다. 올해 3월과 비교하면 요기요와 쿠팡이츠에서 각각 118만 명이 빠졌다.

배달 앱 이용자 이탈 현상이 이어진 데는 고물가 영향이 한몫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지수는 일 년 전보다 7.4% 올라 지난 1998년 3월 이후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갈비탕(12.2%), 치킨(10.9%), 생선회(10.7%), 자장면(10.4%) 등이 전월보다 10% 이상 올랐다. 또 전체 39개 품목 중 김밥(9.7%), 라면(9.3%), 쇠고기(9.1%), 피자(9.1%), 짬뽕(8.9%) 등 31개 품목 가격이 전체 소비자물가(5.4%)보다 많이 올라 물가지수를 끌어올렸다.

높은 배달비도 배달 주문을 꺼리게 했다. 배달 시 같은 메뉴의 가격을 더 높게 책정하는 음식점이 종종 있는데 여기에 배달비까지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올해 1분기(1~3월)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배달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서울시민 10명 중 3명이 “배달비가 인상되면서 배달 서비스 이용 빈도를 줄였다”고 답했다.

특히 배달기사가 한 번에 주문 한 건만을 배달하는 단건배달 서비스가 자리 잡으면서 배달비가 크게 올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시내 배달비는 3월과 비교해 약 12% 상승한 반면 단건 배달비 인상은 40%를 웃돌았다. 소비자 체감은 2배 이상이다. 프랜차이즈 치킨 기준 배달비는 지난해 2000~3000원 수준에서 올해 최대 5000원까지 올랐다.

지난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 관련 외식업 분야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 2만 원어치를 배달했을 때 이용자가 적정하다고 생각한 배달비 수준은 평균 1618원이었다. 일각에서는 배달비 책정에 있어 이용자와의 괴리가 계속될 경우 지속적인 이용자 감소는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마주영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