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경기침체 확률 50%" 노벨경제상 실러의 경고

윈터스 스탠다드차타드 CEO

"내년 초까지 짧은 침체 올 것"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노벨상위원회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노벨상위원회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가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8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실러 교수는 이날 “투자자들과 기업·소비자들이 점점 더 경기 둔화를 걱정하고 있다”며 “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 부분적으로 작용해 경기 침체가 올 확률이 평소보다 훨씬 더 높다”고 밝혔다. 2년 내 경기 침체가 발생할 확률이 50%에 달한다는 것이 실러 교수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실러 교수에 따르면 경제를 움직이는 것은 데이터보다 스토리다. 지금의 불안 심리가 소비와 투자 위축을 낳으면서 실제 경기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는 뜻이다.

그는 주택 시장의 거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올 들어 미국의 주택 가격이 전년 대비 20% 안팎의 급등세를 보이는 가운데 실러 교수는 “주택 버블에 관한 말은 아직 많이 거론되지 않았다”면서도 “하지만 그 얘기가 돌아오기 시작했다”고 우려했다. 이날 미 경제 방송 CNBC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의 30년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수요는 전주 대비 6.5% 감소해 22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로는 21%나 급감했다. 같은 기간 평균 대출 계약금리는 연 5.33%에서 5.40%로 올랐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주택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한 것이다.

월가에서도 경기 침체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빌 윈터스 스탠다드차타드 최고경영자(CEO)는 “임금 인상 같은 구조적 비용 요인에 인플레이션이 치솟으면서 중앙은행들의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이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이것이 상대적으로 얕고 짧은(relatively shallow and short) 경기 침체를 야기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차입이 (예전보다) 적은 가계와 기업이 떠받치는 금융 시스템이 침체 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앞서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가 ‘경제 허리케인’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으며 제인 프레이저 씨티 CEO도 “미국이 경기 침체를 피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