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총리실

尹 '반도체 특명'에 현장 간 총리…"지금은 戰時, 걸림돌 치울 것"

[SK하이닉스서 첫 규제간담]

DJ정부때 바이오 육성 예로들며

'셀트리온 성공신화' 언급하기도

돈은 널려…인재 키우는게 중요

공급주도 인재 양성으로 선제대응

한덕수(가운데) 국무총리가 9일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를 방문해 박정호(오른쪽)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과 투자 애로, 규제 개선 현장 간담회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한덕수(가운데) 국무총리가 9일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를 방문해 박정호(오른쪽)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과 투자 애로, 규제 개선 현장 간담회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것은 6·1 지방선거 이후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핵심 어젠다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한 총리는 9일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지방선거 이후 본격적으로 본인의 국정을 추진해야 하는 과정에서 그려낸 큰 어젠다”라며 “반도체·인공지능(AI)·배터리 등 31개 부문을 키워 일자리를 만들고 주력 산업을 혁신해 세상을 바꾸겠다고 선언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한 핵심 방안이 인재 양성이었다. 기술과 자본은 국가 간 이동이 자유로운 데 비해 사람은 상대적으로 고정적인 만큼 국가 미래를 책임질 핵심 요소라는 이유에서다.




◇“반도체 전쟁 상황”…규제 혁파도 강조해=한 총리는 이날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과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 김남철 네패스 사장, 여문원 미코세라믹스 대표 등 반도체 기업 대표를 만나 현장 간담회도 진행했다. 윤 대통령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을 당부한 지 이틀 만에 반도체 공장을 직접 찾은 것이다.

관련기사



한 총리는 이 자리에서 “과거에는 정부가 돈을 투입하고 경쟁을 제한하고 토지를 확보해주는 이런 정책을 폈다”며 “하지만 첨단산업을 육성하는 중요한 정책은 인재 양성이다. 또 하나의 큰 골격인 규제 혁신과 철폐 등 걸림돌을 어떻게 치울지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반도체를 둘러싸고 세계적으로 지금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위기의식을 표명한 뒤 “전쟁이 일어난 상황에서 조그만 문제를 갖고 왈가왈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기업이 제안한 생산 설비 신증설 관련 규제 완화와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 주요 규제를 개선하도록 검토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인재 양성은 수요 아닌 공급 주도로=한 총리는 이날 인재 양성과 관련해 두 가지를 핵심 포인트를 제시했다. 첫 번째는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 발전을 염두에 둔 방식이다. 그는 “윤 대통령이 수도권과 지방을 같은 숫자로 증원하자고 제안했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대학 정원의 경직성을 풀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대학의 경우 정원총량제 등으로 신규 학과를 개설하면 기존의 다른 학과 인원을 줄여야 한다. 이 때문에 신규 학과 개설이 쉽지 않아 기업이 학과 증설과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면 계약학과라는 제도를 통해 우회적으로 인재를 육성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한 총리는 이에 대해 “40~50명을 육성하는 반도체과 계약학과를 만들려면 기업이 수백억 원을 투자해야 해 너무 비싸다”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총량 규제에서 자유로운 지방의 정원을 늘리면서 동시에 중앙정부가 지원하고, 수도권 대학의 정원도 이에 연동해 함께 늘리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인재 양성을 공급 주도로 선제 대응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 총리는 “대개 정원을 늘리려면 무슨 산업에서 몇 명이 필요한지 계산하는 방식, 즉 ‘디맨드 렛(demand let) 인재 양성’ 방식이었는데 이제 공급 주도의 ‘서플라이 렛(supply let) 인재 양성’ 방식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바이오 산업의 인재를 사례로 들었다. 한 총리는 “김대중 정부에서 바이오를 육성한다고 대학을 지원했는데 처음에는 (졸업 이후) 실업이 넘쳐났다”며 “하지만 셀트리온이 창업하는 등 산업이 성장하면서 지금은 첨단산업으로 어마어마하게 컸다”고 강조했다.

◇여야정 등 협치 장치 가동도 검토=한 총리는 또 여소야대의 정치 상황을 고려해 협치의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지난달 30일 국회에서 최종 의결한 62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거론하며 “야당이 여당에 대해 최종적으로 협조했고, 이것은 또 하나의 협치 사례를 만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앞으로 이런 협치를 통한 우리 정책의 추진에 대한 노력을 더 많이, 더 자주 하려고 하고 있다”며 “(여야) 대표들과 대통령과 여야정 협의체 같은 것도 하고, 총리와 원내대표들 간 협치의 제도적인 장치도 지금 야당과 협의해서 만들려고 생각 중”이라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