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라켓도 잡아본 적 없는데요?" 테니스 엘보 진단, 당황하셨나요 [헬시타임]

테니스족만 '테니스 엘보' 생긴다는 건 용어에서 비롯된 오해

주부·요리사 등 평소 팔 많이 쓰는 사람들은 발병 위험 높아

힘줄 파열·변성 일어난 환자는 PRP 주사로 힘줄 강화 도울 수 있어

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 많은 테니스를 즐기는 이들은 외상과염 발생률이 높다. 이미지투데이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 많은 테니스를 즐기는 이들은 외상과염 발생률이 높다. 이미지투데이




전 세계적으로 테니스가 인기를 끌면서 ‘테니스 엘보’ 증상을 호소하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테니스 엘보는 손목이나 팔의 활동적인 움직임에 의해 팔꿈치 바깥쪽이 손상된 상태를 말한다. 의학적으로는 ‘외상과염’이 정확한 명칭이지만 테니스와 같은 라켓 스포츠를 즐기는 이들에게 호발하기 때문에 흔히 ‘테니스 엘보’라고 불린다.



◇ 테니스 안 치는 가정주부도 ‘테니스 엘보’ 고위험군


팔꿈치를 만져보면 팔꿈치의 바깥쪽과 안쪽에 뼈가 만져진다. 바로 이 뼈들의 이름이 각각 외상과, 내상과다. 손목과 손을 움직이는 힘줄이 이 뼈들에 붙어있다. 이러한 외상과 부위 힘줄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의학적으로 외상과염이라고 부른다. 반대로 내상과 쪽 힘줄에 염증이 생긴 경우는 내상과염이다.

외상과염은 ‘테니스 엘보’라는 별칭과 달리 테니스를 칠 때만 생기는 증상은 아니다. 실제 가정주부, 요리사와 같이 운동과 무관하게 평소 팔을 많이 쓰는 사람들에게도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다만 테니스를 칠 때 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 많다 보니 외상과염 발생률이 높다. 테니스처럼 손목을 뒤로 젖히는 프라이팬 사용이나 컴퓨터 사용 등으로도 외상과염이 생길 수 있다. 반면 손목을 안으로 굽히는 동작이 많은 골프에서는 팔꿈치 안쪽에 통증이 나타나는 내상과염이 잘 생긴다. 때문에 내상과염을 ‘골프 엘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상과염이 생기면 우선 외상과에 특징적으로 통증이 발생한다. 외상과를 직접적으로 눌렀을 때 압통이 발생하고, 이 통증은 외상과에서 전완부 쪽으로 힘줄과 근육을 따라 조금씩 퍼져나간다. 외상과염이 더욱 진행되면 단순히 팔을 굽혔다 펴는 동작만으로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 석회침착·힘줄 파열 여부 확인하려면 영상검사 필수


관련기사



팔꿈치 바깥쪽 통증으로 인해 병원을 찾게 되면 일반적으로 증상의 정도를 확인한 뒤 엑스레이, 초음파 등의 검사를 통해 다른 병변이 동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환자에 따라 외상과염이 오래된 경우 힘줄을 따라 석회가 침착되기도 한다. 증상이 더욱 심한 환자의 경우 힘줄이 파열될 수 있다.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영상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초기 외상과염 환자에게는 활동 조절과 함께 약물, 물리치료를 시도한다. 이후 호전이 안 될 경우 체외중격파 치료나 주사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흔히 스테로이드나 소염 성분의 주사제를 투여하지만 힘줄에 변성이나 파열이 발생할 경우 힘줄 강화를 위한 PRP 주사 치료를 진행하기도 한다. PRP 주사는 30cc 가량을 채혈한 뒤 피 속의 성장인자를 뽑아내고 농축시켜 환자에게 다시 주입하는 방식이다.

박인 이대서울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PRP 주사는 기존 스테로이드 주사와 양상이 다르다”며 “단순히 통증만 가라앉히는 것을 넘어 힘줄을 더 건강하게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인 교수. 사진 제공=이대서울병원박인 교수. 사진 제공=이대서울병원


외상과염은 과사용이 원인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외상과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때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손목을 과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요리나 키보드 사용처럼 손목에 큰 부하가 가지 않는 동작들도 오랜 시간 계속되다 보면 힘줄에 무리가 생길 수 있다. 그로므로 손목을 사용하다 외상과 부위에 통증이 느껴질 때는 활동을 멈추고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박인 교수는 “외상과염은 치료 후 통증이 없어졌다고 해도 완전히 나았다고 안심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힘줄에 안 좋은 행동 습관을 고치고 힘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을 가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