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글로벌 what]ECB도 긴축 나서지만…"日, 연내 긴축 없다"

■ECB도 긴축대열에…日, 완화정책 언제까지

주요국중 국채금리 유일한 마이너스

엔·달러 환율 20년래 최고치에도

구로다 "완화적 통화정책 유지"

日銀 긴축정책 전환시점 설문서

경제전문가 21%만 "연내"응답

'가계 물가 인상 용인' 발언 논란

일각선 "출구전략 모색 시작" 분석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이어 유럽중앙은행(ECB)이 7월부터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공식 예고하면서 주요 선진국 가운데 ‘나 홀로’ 돈을 풀고 있는 일본은행(BOJ)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언제까지 계속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현재 133~134엔대인 엔·달러 환율이 140엔을 돌파하지 않는다면 연내 정책 변경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최근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가 물가 상승에 관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것을 두고 BOJ가 통화정책 변경을 위한 군불 때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도 일각에서는 나오고 있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주요국 중 국채금리가 마이너스인 곳은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일본이 유일하다. 지난해 말 독일·프랑스·스위스 등의 2년물·5년물 국채금리는 모두 -0.5% 내외였지만 이날 장중 1% 안팎으로 상승 반전된 상태다. 이에 반해 일본의 2년물 국채금리는 지난해 말 -0.09%에서 이날 -0.086%, 같은 기간 5년물은 -0.08%에서 -0.03%를 기록하는 등 계속 마이너스에 머물고 있다.

사진 설명사진 설명




미국을 필두로 전 세계 대부분의 중앙은행들이 긴축에 돌입한 상황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경우 일본 엔화에 대한 하락 압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엔·달러 환율은 9일 장중 달러당 134.50엔을 기록하며 약 2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엔화가 2002년 4월에 기록한 135.15엔을 넘어서면 1998년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게 된다. 이날 일본 재무성과 BOJ·금융청은 국제금융 자본시장에 관한 회의를 열어 “엔저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데 대해 우려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처음으로 내놓기도 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여전히 BOJ가 완화적 통화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구로다 총재가 “환율은 정책 목표가 아니며 경제 회복을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3~8일 45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BOJ가 올해 안에 엔저나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은 26%에 그쳤다. 4월 조사 당시 45%에서 두 달 만에 19%포인트나 감소한 것이다. BOJ가 긴축 정책으로 전환할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40.5%가 2024년 이후라고 답했으며 내년 3분기가 23.8%, 연내라는 응답은 21.4%를 나타냈다.

일본의 경제 상황을 봐도 물가 상승을 일으키는 요인이 주로 에너지·식품 등 공급 측면의 압력이며 임금 상승세는 지지부진해 BOJ가 내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2% 물가 상승률’ 목표와는 거리가 먼 상황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구로다 총재가 공식적인 완화 정책 유지 발언과는 달리 통화정책 변경을 의식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니혼게이자이는 구로다 총재가 최근 한 강연에서 “일본 가계의 물가 인상 허용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발언한 것을 두고 BOJ가 출구전략을 모색하기 시작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았다. 구로다 총재의 이 발언은 고물가에 신음하는 일본 국민의 현실을 모르고 있다는 비난을 받으며 도마 위에 올랐으나 BOJ의 한 관계자는 “구로다 총재의 발언은 금융정책 정상화를 위한 포석일 것”이라고 해석했다. 구로다 총재의 발언은 와타나베 쓰토무 도쿄대 교수가 실시한 설문에서 ‘단골 가게의 제품 가격이 10% 올랐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대로 그 가게에서 사겠다’는 답변이 늘었다는 결과를 근거로 삼았다. 신문은 구로다 총재가 물가에 대한 일본인들의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으며 이것이 임금 인상의 징후일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켜 향후 있을 수 있는 긴축을 미리 예고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