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스트 남정석 교수 연구팀, 암전이 억제 펩타이드 항암제 발굴

대장암 마우스 실험으로 세포신호변환 메커니즘 규명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남정석 교수 연구팀은 암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이 세포신호변환 메커니즘을 통해 암의 악성화 및 전이를 촉진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사진제공=지스트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남정석 교수 연구팀은 암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이 세포신호변환 메커니즘을 통해 암의 악성화 및 전이를 촉진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사진제공=지스트




국내 연구진이 ‘암 전이’를 촉진시키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이를 억제하는 펩타이드 항암제를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남정석 교수 연구팀은 암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이 세포신호변환 메커니즘을 통해 암의 악성화 및 전이를 촉진한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디스에드헤린(Dysadherin)은 암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로 특히 침윤성·전이성이 강한 암일수록 발현 정도가 높은 것으로 검증되어 미국 국립 인간유전체연구소의 질병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암전이 단백질로 분류되고 있다.



연구팀은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직 분석을 통해 같은 환자의 정상 조직보다 암 조직에서만 디스에드헤린의 발현이 특이적으로 높다는 것을 검증했다.

관련기사



이를 기반으로 대장암 마우스 실험을 통해 디스에드헤린 녹아웃 마우스에서 종양 형성 및 침윤 억제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디스에드헤린이 세포외기질의 구조적 구성성분인 피브로넥틴(Fibronectin)과 결합해 암세포에 가해지는 물리적 힘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세포신호변환 메커니즘과 관련한 단백질이 활성화됨으로써 암의 악성화 및 전이를 유도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암 전이 촉진과 관련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디스에드헤린이 피브로넥틴과 결합하는 부분의 아미노산 서열을 밝히고, 디스에드헤린-피브로넥틴의 결합을 방해하는 펩타이드를 발굴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발굴한 펩타이드가 디스에드헤린-피브로넥틴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암세포의 생존을 방해한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암 전이에 대한 새로운 예방 및 치료기술 확립에 실험적 근거를 제시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디스에드헤린에 의한 암의 악성화 및 전이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펩타이드를 발굴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면서 “향후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치료전략의 가능성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