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화물연대 파업에 1.6조 피해…尹 "대안 마련하라"

■ 총파업 일주일…멈춰선 생산현장

자동차 등 생산·출하·수출 차질

철강업계 손실액 7000억 육박


화물연대 총파업이 1주일째 이어지면서 자동차·철강·건설·석유화학 등 전국 생산 현장이 멈춰 서고 있다.

생산 중단과 감산으로 피해 규모가 1조 6000억 원에 달했고 급기야 윤석열 대통령은 지켜보자던 입장에서 다각도 대안을 주문했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는 7~12일 6일간 자동차·철강·시멘트 등 주요 업종에서 1조 6000억 원 규모의 생산·출하·수출 차질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부문별로 보면 철강 업계는 육상 운송을 통한 제품 반출이 제한되면서 총 45만 톤의 출하 차질을 빚었다. 철강 제품의 평균 단가가 톤당 155만 원임을 고려하면 6975억 원 규모의 피해를 본 셈이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재고 적재 공간 부족으로 이날부터 선재·냉연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석유화학 업계는 전남 여수와 충남 서산 대산공단 등 석유화학 단지를 중심으로 제품 반출이 제한되면서 5000억 원 상당의 출하 차질이 발생했다. 자동차 업계는 부품 반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5400대의 생산 차질이 생겨 총 2571억원 상당의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산업계의 피해가 예상된다며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요구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가 1주일째로 접어들어 이번 주부터 산업계의 피해가 늘어날 수 있으니 다각도의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부탁했다”고 전했다.

박호현 기자·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