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예·적금에 뭉칫돈…4월 통화량 8.5兆 '껑충'

설 명절을 일주일 앞둔 24일 서울 강남구 한국은행 강남본부에서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에 공급될 설 자금 방출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2022.01.24설 명절을 일주일 앞둔 24일 서울 강남구 한국은행 강남본부에서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에 공급될 설 자금 방출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2022.01.24




코로나19 이후 저금리 환경에서 대규모로 풀린 유동성이 잠시 주춤했으나 한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금융시장이 출렁이면서 주식·암호화폐 등 각종 자산에 묶여 있던 시중 자금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예·적금 등으로 이동하면서 유동성 집계에 포함된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크게 늘었던 대출 상환이 본격화하지 않는 이상 유동성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한국은행은 4월 중 광의통화량(M2)이 3667조 1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8조 5000억 원(0.2%)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3월 M2가 4조 1000억 원(0.1%) 줄어들면서 3년 6개월 만에 처음 감소하자 유동성 증가세가 꺾였다는 평가가 나왔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M2는 시중 통화량을 보여주는 지표로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 입출금식 예금(이상 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 상품을 포함한다.

M2는 코로나19 이후 2년 동안 폭발적으로 늘었다. 코로나19 직전인 2020년 3월까지만 해도 3000조 원을 넘지 못했으나 불과 2년 만에 660조 원 넘게 증가했다. 단기간에 급증한 시중 유동성은 주식·부동산·암호화폐 등으로 유입되면서 자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졌다. 이에 한은이 기준금리를 지난해 8월 0.50%에서 올해 5월 1.75%로 1.25%포인트나 올렸으나 시중 유동성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것이다.

가계가 전체 유동성을 끌어올렸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보유 유동성은 정기 예·적금과 요구불예금을 중심으로 한 달 만에 16조 2000억 원이나 늘었다. 주식 등을 팔고 정기 예·적금으로 자금을 옮겨둔 것이다. 반면 기업은 대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배당금 지급과 운전 자금 수요 증가 등으로 7조 7000억 원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늘어난 유동성 대부분이 대출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갚아야만 유동성 감소가 나타날 것”이라며 “기준금리를 인상했다고 곧바로 유동성이 회수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