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다시 돌아온 돌려막기, 방치 땐 도미노 부실 막지 못해


급격한 금리 상승으로 한계 가구와 한계 기업 등이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 디폴트(채무 불이행)를 피하기 위해 고리(高利)로 급전을 조달해 버티는 ‘돌려 막기’가 늘고 있다. 4대 시중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고 연 7.09%까지 급등했고 다음 달에는 8% 이상으로 치솟을 것이다. 실물 부문에서는 ‘R(경기 침체)의 공포’가 현실로 다가왔다. 기획재정부는 17일 ‘그린북’에서 올 들어 처음 ‘경기 둔화’ 표현을 썼다. 자산 시장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주 연속 하락세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에 나섰던 2030세대와 전세를 끼고 집을 산 갭투자자들이 대출이자 부담으로 상환 불능에 빠지는 ‘하우스푸어 사태’가 우려된다. 돈을 빌려 주식을 사들였다가 갚지 못해 강제 처분당하는 반대매매가 주가 급락세로 급증하는 것은 개인 파산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일 수 있다.



원자재 값 급등과 인플레이션 장기화로 기업의 자금난도 가중되고 있다. 4월 말 기업 대출 연체율은 0.28%이지만 정부가 반강제로 원리금 상환을 유예한 데 따른 ‘분식’된 수치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내지 못하는 한계 기업은 2년 전 상장 기업의 18.9%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한계 기업이 최근 부쩍 늘고 있는 가운데 저신용 건설사 등은 초단기로 자금을 조달하기 시작했다. 스타트업들은 5월 투자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급감하는 등 ‘보릿고개’를 맞고 있다. 당국이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비상 자금 조달 계획 점검에 나선 것은 금융사의 건전성에도 문제가 생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련기사



정부는 실물·금융 전반으로 확산되는 도미노 부실 상황을 엄중하게 봐야 한다. 시장이 더 경색되면 멀쩡한 기업까지 ‘흑자 부도’에 몰릴 수 있다. 과거 위기 당시 만들었던 배드뱅크 등의 부실 처리 장치 구축에 속도를 내고 모든 금융권을 상대로 건전성 등의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해야 한다. 현재 위기를 한순간에 지나가는 먹구름으로 치부하다가는 금융 시스템 전체가 교란되는 최악의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