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MZ세대 마약사범 증가…전체 63% 차지

3개월간 전체 검거 인원 4700명

SNS 통한 접근 쉬워져 매년 늘어





MZ세대 마약 사범이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마약 접근이 쉬워졌기 때문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19일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간 집중 단속한 결과 마약류 유통 및 투약 사범 등 총 3,033명이 검거됐고 이 중 509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집중 단속을 포함한 검거 인원은 4,700명으로 지난해 3,931명 보다 19.6%(769명) 증가했다. 압수물은 필로폰 7,046g, 엑스터시 4,752정, JWH-018 2,928g, 야바 7,592정, GHB 1,563㎖, 대마초 9,691g 등이다. 경찰은 불법수익금 23억 6000만 원 상당을 기소 전 추징보전 조치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마약류 사범 중 MZ세대 비율은 총 검거 인원 4700명 중 2940명으로 63.2%다. MZ세대 마약사범 비중은 2019년 48.9%, 2020년 51.2%, 2021년 58.9%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비대면 구매 방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마약류가 생활 속으로 확산되면서 호기심에 구매하여 투약하는 사범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다이어트 약물 등 의료용 마약류를 불법으로 처방받아 SNS를 통해 판매·투약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적발되는 등 마약류 범죄에 노출되는 청소년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외국인 마약류 사범도 외국인 밀집 지역 및 클럽·유흥주점에서 자국민들끼리 모여 공동 투약하는 사례가 다수 적발되는 등 외국인 마약사범 비율이 전체 15.1%(457명)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경찰은 국내 유통되는 마약류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밀반입 되고 있는 만큼 관세청 등 국내 마약류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고 외국 수사기관과의 국제공조 강화로 마약류 유통을 근절해 나갈 계획이다. 경찰은 “마약류 범죄 신고자에 대하여 비밀을 보장하고 신고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는 만큼 국민의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