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자의눈]현실 못따라가는 물가 대책

백주원 생활산업부 기자





요즘 대형마트 매대에서는 손에 든 채소를 살지 말지 고민하는 주부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갑작스레 급등한 물가 탓에 이리저리 가격표를 살펴보며 고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밥상물가가 수개월째 빨간불이다. 각종 채소는 물론 고기, 배달 음식마저 빠르게 가격이 오르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를 기록했고 이대로라면 6월과 7월에는 더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물가 안정에 가장 먼저 발 벗고 나선 것은 기업이었다. 대형마트는 수개월 전부터 비축해둔 물량을 풀며 각종 할인 행사에 나섰고 편의점은 도시락·샐러드 등을 할인해 살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은 이월 상품, 단순 변심에 의한 환불 상품 등을 내놓으며 ‘알뜰 쇼핑족’ 공략에 나섰다.

일단 정부도 쓸 수 있는 카드는 다 꺼내겠다는 의지는 보이고 있다. 유류세를 37%로 추가 인하하기로 했고 농축산물은 긴급 수입하거나 비축 물량을 대거 방출했다. 하지만 유류세는 이미 30% 인하가 적용되고 있던 터라 체감 정도는 미미했다. 비축 물량이 동나는 시기는 곧 다가올 것이고 더는 수입할 물량을 찾기도 어려울 테다. 천문학적인 적자를 기록한 한국전력도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물가 상승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그런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은 남의 일인 것처럼 “근본적으로 대처할 방도는 없다.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는 말뿐이다. 민생 대책을 위해 ‘법 개정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국회가 정상 가동됐으면 법안을 냈을 것”이라며 외려 국회로 책임을 돌렸다. 민심도 흔들리고 있다.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주 윤석열 정부의 국정 수행과 관련한 부정 평가는 1.2%포인트 높아진 45.4%로 집계됐다. 영화를 보고 빵집을 찾고 ‘집들이’나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진짜 소통은 국민들의 고충을 듣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데 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