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외신 "韓, 우주 기반 감시 시스템·대형 미사일 핵심기술 확보"

[외신들이 본 누리호 성공 의미]

"세계 10번째 자체기술로 위성 쏴"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자 외신들도 소식을 비중 있게 전했다.



AP통신은 한국이 이번 발사에 성공하면 자체 기술로 위성을 쏘아 올린 열 번째 국가가 된다고 전했다. 통신은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해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는 한국 내에서 커지고 있는 우주로의 포부를 북돋아준다”며 “북한과의 적대감 속에서 우주 기반 감시 시스템과 보다 큰 미사일을 만드는 핵심 기술을 확보했음을 증명하게 된다”고 평가했다. AP는 또 “세계 10위 경제 대국인 한국은 반도체·자동차·스마트폰의 주요 공급국이지만 우주개발 프로그램은 이웃 국가인 중국·인도·일본에 비해 뒤처져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로이터통신도 누리호의 제원과 발사 현황을 묘사하며 “누리호는 6G 통신망과 첩보 위성, 심지어 달 탐사선에서도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하려는 한국 계획의 초석”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6G 통신망을 구축하려는 한국의 계획에서 핵심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통신은 또 “우주발사는 북한이 핵으로 무장한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제재를 받고 있는 한반도에서 오랫동안 민감한 문제”라고도 언급했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한국이 1톤 이상의 실용 위성 발사에 성공한다면 미국과 이스라엘, 중국, 유럽연합(EU), 일본,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일곱 번째라고 전했다.

닛케이아시아는 “한국은 자체 기술로 위성을 궤도에 보낼 수 있는 열 번째 국가이자 1톤 이상의 위성을 전달할 수 있는 일곱 번째 국가가 됐다”며 “한국은 8월에 달 탐사선을 보낼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