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원숭이두창, 아시아서 또 발생"…레바논 첫 감염 사례 보고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환자의 모습./로이터연합뉴스원숭이두창에 감염된 환자의 모습./로이터연합뉴스




유럽과 미주 등 비풍토병 지역에서 한 달 만에 확진 건수가 1000건을 넘어서는 등 확산세가 가팔라지고 있는 원숭이두창과 관련,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역 전파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내놓은 가운데 서아시아 국가 아랍에미리에트(UAE)에 이어 레바논에서도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20일(현지시간) 레바논 국영 뉴스통신사 NNA에 따르면 레바논 보건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최근 국외 여행에서 돌아온 사람이 원숭이두창에 감염돼 자택에서 격리 중"이라며 "상태는 안정적"이라고 밝혔다.

보건부는 첫 감염자와 밀접 접촉한 사례를 추적 중이라고 부연했다.



원숭이두창은 천연두와 증상이 비슷한 중·서부 아프리카에서 풍토병화된 바이러스로 지난달 7일 영국에서 감염 사례가 나온 뒤 유럽과 미주·중동·호주 등에서 잇따라 확진자가 발생하며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또 다른 글로벌 보건 위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지난 40년간 선진국들이 아프리카에 존재해온 바이러스를 수수방관하다가 막상 자국에서 발병하자 뒤늦게 대응에 나서기 시작했다는 비판적인 목소리도 나온다.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출신의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이 바이러스가 고소득 국가에서 발병하고 나서야 국제사회가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면서 "이는 우리가 사는 세계의 실상을 반영하는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WHO는 원숭이두창이 코로나19처럼 공기로 전파되고 있는지에 대해선 여전히 확신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로자먼드 루이스 WHO 긴급 대응 프로그램 천연두 사무국장은 "타인과의 밀접 접촉이 주된 전파 경로"라면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침방울에 의한 감염 여부는 아직 완전히 확인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숭이두창 감염 환자를 치료하는 보건·의료 종사자의 경우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