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내부 갈변, 과숙까지 찾아내요"…롯데마트, AI 선별 시스템 도입

'비파과 당도 선별기'에서 한 단계 진화

수분 함량부터 후숙도까지 측정…결함도

맛 표기제 강화…브릭스·맛 표기 바코드

롯데마트 직원들이 ‘AI선별 시스템'으로 멜론을 검사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마트롯데마트 직원들이 ‘AI선별 시스템'으로 멜론을 검사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마트




롯데마트가 과일의 맛과 품질,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한 층 발전된 선별 시스템을 도입한다.

롯데마트는 상품성 향상을 위해 대형마트 최초로 ‘인공지능(AI) 선별 시스템’으로 선별한 과일을 판매한다고 22일 밝혔다.



‘AI 선별 시스템’은 기존에 사용하던 ‘비파괴 당도 선별기’에서 한 단계 더 진화된 시스템이다. 중량과 당도 뿐만 아니라 수분 함량과 후숙도까지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파괴 당도 선별기’로는 측정하기 어려워 메론의 고객 불만 사례 대부분을 차지했던 ‘내부 갈변’, ‘과숙’ 등의 내부 결함을 선별해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관련기사



X-RAY를 촬영하듯 10개의 렌즈에서 근적외선을 쏘아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얻고, 이를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인 딥러닝으로 이미지 분석을 한다. 다양한 메론 품종에 따라 투광을 조정하는 것은 물론 복숭아의 꼭지 사이 빈틈으로 들어가 과육을 상하게 하는 ‘핵할’ 검출이 가능하다.

현재 롯데마트는 ‘AI 선별기’로 선별한 ‘황금당도 머스크 메론’, ‘황금당도 하미과’, ‘천도복숭아’ 등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신품종 ‘하미과’ 멜론은 선별기를 도입한 진주원예농협의 오프라인 물량을 독점 계약해, 당도 13브릭스(Brix) 이상은 물론 수분함량과 숙도까지 완벽하다는 평가다.

이외에도 롯데마트는 신선식품 품질 개선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맛 표기제를 강화하고 있다. 수박, 사과, 배, 참외 등 달콤함이 중요한 과일류는 당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Brix’를 표기하고 있고, 산지에서 측정한 당도와 매장 입고 후 당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MD(상품기획자)가 수시로 산지와 매장을 방문해 당도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당도만으로 맛을 표현하기 어려운 딸기의 경우 ‘달콤함·새콤함·단단함’ 3가지 척도를 1~3단계까지 바코드 높이로 표현한 ‘맛표기 바코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상세하게 맛을 설명할 수 없는 한계를 탈피해 고객들이 당도, 식감, 경도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정혜연 롯데마트 과일팀장은 "최상의 맛과 품질의 신선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대형마트 최초로 ‘AI 선별 시스템’으로 선별한 과일을 판매한다”며 “지속적으로 최첨단 선별 시스템 운영 품목을 늘려나가 더욱 균등한 품질의 상품을 선보이는 것은 물론, 맛표기 바코드 확대를 통해 롯데마트만의 신선식품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