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저임금 노사 요구 차이, 23년 만에 두번째로 낮았다

내년 최초요구안 보니…경 "동결" vs 노 "18.9%"

2000년대 들어 10% 차이 두 번뿐…논의 속도

23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왼쪽)와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23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제6차 전원회의에서 사용자위원인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왼쪽)와 근로자위원인 이동호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영계와 노동계가 내년 희망하는 최저임금 수준 차이가 18.9%로 나타났다. 2000년대 들어 두번째로 낮은 차이다. 매년 수준을 두고 극심한 갈등을 빚는 노사가 합의에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23일 최저임금위원회에 따르면 경영계를 대표하는 사용자위원은 이날 제6차 전원회의에서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와 같은 시급 기준 9160원이 돼야한다는 최초요구안을 최임위에 제출했다. 앞서 노동계를 대표하는 근로자위원이 낸 최초요구안인 18.9% 인상안과 비교하면 노사 차이는 18.9%다.

관련기사



역대 최초요구안 노사 차이를 보면, 결정연도 기준 1999년 12.8%를 제외하곤 10%대를 기록한 연도는 두 번뿐이다. 가장 작은 차이는 2020년 18.5%였다. 다. 올해와 2020년을 제외하면 최소 20%대에서 많게는 70%대까지 차이가 벌어졌다.

양측은 이날 전원회의부터 최초요구안을 놓고 심의에 돌입했다. 재차 수정요구안을 내면서 차이를 좁히고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표결로 최저임금이 결정된다. 늘 노사 이견이 커 합의로 최저임금을 결정한 전례는 드물다.

올해 심의는 고물가가 변수다. 고물가를 두고 노동계는 취약계층 보호, 생계비 인상 필요성을, 경영계는 기업의 지급 여력 약화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한편 최저임금은 사용자위원·근로자위원·공익위원 각각 9명씩 27명으로 구성된 최임위에서 심의·의결한다. 최임위는 매년 8월 5일로 정한 최저임금 고시일을 고려하면 내달 중순까지 결론을 내야 한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