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LX그룹, LG그룹서 공식 독립

공정위, 친족분리 인정…내년 대기업집단·총수 지정될 듯

구본준 LX홀딩스 회장. 서울경제DB구본준 LX홀딩스 회장. 서울경제DB




정부가 지난해 LG그룹에서 독립한 LX그룹의 계열 분리를 인정했다. LX는 지난해 말 기준 자산 규모가 10조 원을 넘어 내년에 ‘대기업 집단’으로 지정될 것으로 보인다. 동일인(총수)으로는 구본준 LX홀딩스 회장이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3일 LX홀딩스 등 12개사의 친족 독립 경영(친족 분리) 인정 신청을 검토해 수용했다고 밝혔다. LX그룹과 LG그룹이 각각 별개의 기업집단으로서 공정거래 관련 규제를 적용 받는다는 의미다.

구본준 회장이 이끄는 LX그룹 12개사는 기존 사명을 LG에서 LX로 변경하거나 별도 브랜드를 사용하는 등 독립 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지난달 3일 친족 분리 인정을 신청했다. 구 회장은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숙부다.



공정위는 LG 측이 보유한 LX 계열사 지분율(12개사 중 4개사), LX 측이 보유한 LG 계열사(61개사 중 9개사) 지분율이 각각 상장사는 3% 미만, 비상장사는 10·15% 미만이고 임원 겸임, 채무 보증, 자금 대차, 법 위반 전력 등이 없어 친족 분리 기준을 충족한다고 판단했다.

관련기사



공정위는 “친족 분리를 통해 기업집단 LG는 전자·화학·통신 서비스, LX는 반도체·물류·상사 등 각각 경쟁력을 갖춘 주력 사업에 핵심 역량을 집중하고 독립·책임 경영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어 “복잡한 출자 고리로 연결된 대기업 집단이 소그룹화돼 소유·지배구조가 명확해지고 경제력 집중이 완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LG그룹과 LX그룹은 일감 개방과 관련한 후속 조치도 마련했다. LX판토스·LX세미콘은 LG 계열사 거래 비중이 각각 58.6%, 24.2%인데 내부거래 비중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LG전자와 LG화학은 해상 운송 거래에 경쟁입찰제도를 전면 도입하고 LX판토스와 LX세미콘은 외부 거래처 규모 확대, 해외시장 매출 확대, 신규 사업 분야 진출 등을 추진한다. LG는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한 내부거래위원회를 꾸려 LX 계열사와의 거래에 사익 편취 규제 대상 거래에 준하는 심의 기준을 적용한다. 내부거래위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되 3분의 2 이상을 사외이사로 채운다.

LX도 사외이사 중심의 ESG위원회를 설치해 LG 내부거래위원회와 유사한 수준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LG와 LX는 지난해 7월 시행한 물류 일감 개방 자율 준수 기준도 충실히 이행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친족 분리 이후 3년간 독립 경영 인정 요건 충족 여부를 점검하고 친족 분리 회사 간 부당 내부거래 등을 면밀히 감시할 예정이다. 공정위는 3년 이내에 요건을 충족하지 않게 되면 친족 분리 결정을 취소할 수 있다.

공정위는 "친족 분리는 주력 사업 역량 집중, 소유·지배구조 명확화, 경제력 집중 완화 등 긍정적 효과가 있으므로 권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LX홀딩스 등 12개사는 당분간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및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지 않는다. 5월 1일 대기업 집단 지정 당시에는 LG그룹에 속했으나 이달 22일자로 기업집단 LG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다만 LX그룹만 놓고 봐도 자산총액이 지난해 말 기준 10조 622억 원에 달하기 때문에 내년 대기업 집단 지정 때는 별도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