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교용지부담금 산정 때 세대 수 잘못 계산한 구청…법원 "부담금 취소해야"

학교용지부담금 산정 시 세입자도 독립 가구로 계산해야





재개발 사업자에게 부과하는 학교용지부담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세대 수를 산정할 때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세입자도 독립 가구로 계산해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2부(신명희 부장판사)는 서울 은평구 A재개발조합이 은평구청장을 상대로 낸 부담금부과처분 취소 소송을 원고 승소 판결했다.



A조합은 2020년 9월 은평구청으로부터 1464세대를 분양하는 규모의 정비사업시행·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았다. 은평구청은 12월 A조합에 11억8000여만원의 학교용지부담금을 부과했다. 학교용지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은 택지개발 사업자에게 학교용지 확보를 위해 분양 가격의 0.8%를 부담시킬 수 있다.

부담금은 총 분양 세대 수에서 기존 세대 수를 뺀 값을 기준으로 정한다. 이 때 임대주택 분양은 증가분에서 제외된다. 은평구청은 기존 세대 수를 850세대라고 본 반면, A조합은 기존 세대 수를 1195세대로 계산했다. 구청은 교육부 해석례에 따라 모든 다가구주택을 개별 세대로 계산했다. 세입자 가구 345세대를 제외한 결과다.

구청 측은 "다가구주택 세입자는 주로 단독주택 일부 공간을 임차해 생활하는 1인 가구인 관계로 학교 수요를 유발할 가능성이 없고, 주거 안정성이 낮아 정비사업 이후 다른 곳으로 이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조합 측 계산이 맞다고 보고 구청이 부과한 학교용지부담금 전액을 취소하라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교육부 해석례는 행정기관 내부의 해석기준에 불과해 정당한 판단 기준이 되기 어렵다"며 "구청이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독립 가구의 수를 직접 조사하지도 않은 채 건축물대장만을 기초로 부담금을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고 했다.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