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대우건설, 나이지리아 '와리 정유시설 긴급 보수공사' 수주

노후 정유시설 시운전 가능상태까지 긴급 보수

대우건설 단독 수의계약…공사금액 4억9232만불

지난 24일 백정완(왼쪽 세번째) 대우건설 대표이사와 무스타파 야쿠부(왼쪽 네번째) NNPC 정유부문장 등 나이지리아측 인사들이 계약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우건설지난 24일 백정완(왼쪽 세번째) 대우건설 대표이사와 무스타파 야쿠부(왼쪽 네번째) NNPC 정유부문장 등 나이지리아측 인사들이 계약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우건설




대우건설이 나이지리아국영석유공사(NNPC)의 자회사 ‘와리정유화학(WRPC)'이 발주한 와리 정유시설 긴급 보수 공사를 수주했다고 27일 공시했다.



대우건설에 따르면 백정완 대우건설 대표이사는 나이지리아 현지를 직접 방문해 지난 24일 수도 아부자의 NGMC사(社)에서 낙찰통지서(LOA)에 계약의 증인 자격으로 서명했다. LOA는 대우건설측 정태원 나이지리아법인장과 WRPC측 바바툰데 바카레 대표이사가 대표로 서명했다.

이날 체결한 문서는 통상적인 LOA와 달리 공사금액, 공사기한, 업무 범위 등 구체적 사업내용이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총 공사금액은 약 4억9232만달러(약 6404억원)이며, 공사기한은 오는 7월부터 2023년12월까지다. 총 3개 공정 중 패키지 1·2의 공사기한은 확정됐으나 패키지3 공사는 향후 발주처와의 협의 및 승인 하에 진행될 예정이다.



해당 사업은 나이지리아 남부 와리항에서 북쪽으로 8.5km 지점에 위치한 기존 와리 정유시설의 석유 생산품을 생산하기 위해 시운전 단계까지 긴급 보수하는 공사다. 대우건설은 이 공사를 수의 계약으로 수주했으며, 단독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와리 정유시설은 지난 1978년 이탈리아의 스남프로게티사(社)가 준공해 운영되다 약 3년 전 부터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이에 NNPC측은 빠른 시일 내에 보수와 시운전을 완료해 공장을 재가동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이지만 정유시설 노후화로 휘발유를 비롯한 연료 등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석유제품 수입가격 폭등과 유가 보조금 지급에 따른 나이지리아 정부 재정 부담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대우건설은 쿠웨이트, 오만, 사우디 등지에서 정유시설을 건설한 실적이 있고 주력시장인 나이지리아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과 인적·물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사업 진행을 원하는 발주처와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이번 공사를 수의 계약으로 수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프로젝트의 수의 계약을 통해 나이지리아 내 노후 정유시설과 신규 정유시설 증설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실적을 확보했을 뿐 아니라 향후 정유시설 위탁운영 사업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높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우건설과 NNPC사는 이번 LOA 서명 후 8주내에 상세 계약조건을 담은 최종계약서를 마련해 법리 검토를 거친 뒤 이를 서로 교환하고, 계약한 후에 확정 내용을 공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