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夏鬪 긴장감 고조…민주노총 '6만명' 내달 2일 모인다

  전국 노동자대회 강행 선언

  한노총도 투쟁 노선 움직임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27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열린 정부 반노동정책 규탄 7·2 전국노동자대회 선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27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열린 정부 반노동정책 규탄 7·2 전국노동자대회 선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다음 달 2일 서울에서 6만 명이 모이는 대규모 집회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동계의 하반기 장외투쟁 신호탄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노총은 27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음 달 2일 서울 도심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한다고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부는 노동자와 국민의 요구를 막지 말고 재벌과 부자의 탐욕을 막아야 한다”며 “경제 위기에서 국민을 지키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은 노동 개혁 중단, 물가 대책, 최저임금 대폭 인상, 사회 공공성 강화 대책, 노동권 확대 보장, 비정규직 해결 등을 요구 사항으로 내걸었다.

관련기사



민주노총은 이번 노동자대회에 약 6만 명이 모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 들어 최대 규모 노동자 장외 집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찰은 노동자대회 자체를 불허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이 노동자대회를 강행할 경우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노동자대회를 시작으로 노동계의 장외투쟁이 줄줄이 이어진다. 다음 달 중순에는 금속노조가 20만 명 참가를 목표로 총파업에 돌입한다. 8월에는 민주노총, 9월에는 공공운수·보건의료노조, 10월에 다시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계획하고 있다.

노동계에서는 하반기 노사정 관계에 대해 경색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화물연대본부가 일주일간 총파업을 하는 과정에서 결국 대화로 풀었지만 불법 파업이나 집회에 대해서는 엄정 대처한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적극 대응했다. 문재인 정부에 이어 윤 정부에서도 노정 파트너로 여겨진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역시 대화 대신 투쟁으로 노선을 변경하고 있다. 이날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세종시 고용노동부 앞에서 최저임금 대폭 인상을 요구하며 천막 농성을 시작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