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크기 다른 5만원권, 위폐?…"손소독제 탓"

ATM 입금 거부되며 위조지폐 소동

소독제 글리세린 성분에 5㎜까지 늘어나

"돈, 코로나 감염 낮아…닦지 마세요"

울산의 한 은행에서 지난달 27일 발견된 크기가 다른 5만 원권의 모습. SBS 유튜브 캡처울산의 한 은행에서 지난달 27일 발견된 크기가 다른 5만 원권의 모습. SBS 유튜브 캡처




최근 시중의 한 은행에서 크기가 다른 5만 원권 지폐가 발견되면서 위조지폐 소동이 일어났으나 판별 결과 진폐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사례가 나타나면서 한국은행을 포함한 국내 기관들은 현금을 통한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이 크지 않은 만큼 손 소독제로 지폐를 닦지 않을 것을 적극 홍보하기로 했다.



27일 한은은 위폐 방지 실무위원회가 상반기 정기 회의를 개최하고 최근 위조지폐 발견 현황, 화폐 위조범 검거 사례, 위조지폐 감정 현황 등을 점검하고 위조지폐 유통 방지를 위한 대응책 마련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위폐 방지 실무위는 한은·국정원·경찰청·관세청·국립과학수사연구원·한국조폐공사 등 6개 기관 소속 위폐 담당 직원들로 구성된다.

관련기사



최근 신용카드 등 비현금 지급 수단 이용 활성화, 코로나19에 따른 대면 상거래 위축 등으로 위폐 발견 건수가 크게 감소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 등으로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대면 상거래가 정상화될 수 있는 만큼 경계감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손 소독제로 지폐를 닦아 가로 길이가 소폭 늘어나면서 ATM 입금 등이 거부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점을 우려했다. 손 소독제의 글리세린 성분이 수분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졌기 때문에 섬유 재질인 지폐의 크기를 늘린 것이다. 이로 인해 지폐 길이가 최대 5㎜까지 늘어날 수 있다.

위폐 방지 실무위는 현금을 통한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적극 홍보하기로 했다. 올해 1월 미국 브리검영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폐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주입한 후 시간 흐름에 따른 검출 정도를 조사했더니 30분 후 99.9993% 감소했다. 24시간이 지난 후로는 검출되지 않았다. 상점에서 실제 사용 중인 지폐에서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