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개방형 직위 최대 10%까지 확대 등 ‘홍준표호’ 시정 혁신 밑그림 나왔다

이상길 시장직 인수위원장이 27일 민선 8기 시정 혁신 8대 과제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이상길 시장직 인수위원장이 27일 민선 8기 시정 혁신 8대 과제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의 민선 8기 시정 운영 밑그림이 나왔다.



외부 전문가를 채용하는 개방형 직위의 범위를 최대 10%까지 확대하고, 산하기관장 등 임원 연봉을 1억2000만원 이내로 제한하는 등 시정혁신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상길 시장직 인수위원장은 27일 오후 대구콘텐츠비즈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민선 8기 시정 혁신 8대 과제를 공개했다.

이 위원장은 “‘대국 대과(大局 大課) 원칙’에 입각해 유사·중복 조직을 통합하고 부서 칸막이를 제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12국·2실·3본부 체제는 9국·3실·2본부 체제로 개편된다.

특히 시장 직속 기관으로 ‘시정혁신단’, ‘정책총괄단’, ‘재정점검단’, ‘미래50년 추진과’ 등을 신설해 공직사회 혁신, 재정건전성 강화, 먹거리 발굴을 직접 챙긴다.

또 ‘군사시설이전단’, ‘금호강르네상스추진단’도 설치해 군부대 이전 터 개발과 금호강 100리 물길 조성 등 핵심사업을 총괄토록 했다.

이와 함께 ‘혁신성장실’을 신설, 분산돼 있던 산업육성과 투자유치 기능을 한 곳으로 통합하고 경제부시장 직속으로 ‘원스톱기업투자센터’를 설치해 투자기업의 성장을 밀착 지원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장과 정무적 성격의 임명직 인사간 임기 불일치로 발생하는 ‘알박기’ 논란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시장과 정무직 공직자 등의 임기를 일치시킨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임기가 법령으로 보장된 공사·공단 등을 제외한 전 산하기관장의 임원, 임기제 정무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임기를 2년으로 조정하고 1회만 연임할 수 있도록 제한키로 했다.

현재 시장이 임명할 수 있는 정무직 보직 70개 중 내부 방침 변경, 정관 개정으로 조정 가능한 보직은 54개로 파악됐다.

또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산하기관장을 비롯한 임원 연봉을 1억2000만원 이내로 제한하는 연봉 상한제를 도입키로 했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유연근무제를 확대해 현재 전 직원의 3% 수준인 시차 출근제를 20%까지 늘린다. 청내 모든 회의는 오전 10시 30분 이후에 실시토록 할 계획이다.

특히 시에서 관리하는 아파트는 ‘관사’라는 용어를 실용적 주거 지원을 의미하는 ‘숙소’로 변경하고 숫자도 현재 16개에서 10개로 정리해 예산을 절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공무원 특유의 폐쇄적 조직문화를 혁신한다는 취지에서 4급 이상 직위를 대상으로 외부 전문가를 채용하는 개방형 직위의 범위를 법령상 최대 폭인 10%까지 확대, 최대 23개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밖에 각종 위원회를 대폭 정리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기 위해 대규모 프로젝트와 계속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계획이다.

이 위원장은 “오늘 발표한 혁신안은 앞으로 4년간 홍준표 시정이 나아가고자 하는 혁신의 방향을 알려주는 첫 신호탄”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수위는 오는 28일에는 제2의료원, 시청 신청사 이전 등 정책추진 분야를, 29일에는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을 포함한 종합 분야 혁신 과제를 각각 발표할 계획이다.


대구=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