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0세 미만 성인 10명 중 3명 "부모와 동거"…이유 보니

3040도 "독립 경험 없다" 4~6%

독립 계기, 결혼·학교·직장 순

연구팀 "독립은 취업, 결혼 등 유인 의한 선택 사항"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우리나라에서 50세 미만 성인 남녀 10명 중 3명이 독립하지 않고 부모와 동거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독립의 가장 큰 유인은 결혼으로 미혼인 사람이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은 기혼자의 20배 이상이었다.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보건복지포럼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만 19~49세 성인 남녀 중 29.9%는 부모와 동거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결혼 여부, 취업 여부로 구분해 보면 미혼자의 64.1%, 비취업자의 43.6%가 부모와 동거하고 있었다. 반대로 기혼자의 동거율은 3.2%, 취업자의 동거율은 23.5%로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이 같은 통계는 부모로부터 독립한 주된 이유가 ‘결혼을 해서(36.4%)’라는 응답이었던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이외에는 ‘학교와의 거리가 멀어서(28.0%)’, ‘직장과의 거리가 멀어서(20.9%)’, ‘독립하고 싶어서(7.3%)’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특히 미혼 여성이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은 69.0%로, 미혼 남성(60.9%)보다 높았다. 또 미취업 상태일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동거 비율이 높은 경향도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부모의 집을 떠나 주거 독립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 문화적 승인과 경제적 자원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통상적으로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은 것으로 간주되는 30대 후반, 40대에서도 '독립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4~5%에 달했다. 이어 35~39세의 응답한 비율은 5.9%, 40~44세는 4.2%, 45~49세는 4.0%였다.

이번 조사에서 '독립'은 만 18세 이후 군 입대를 제외하고 6개월 이상 부모와 떨어져 산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최근의 만혼과 비혼 확산이 주거 독립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주거 독립 연령이 1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까지 넓게 퍼져 있어 성인 자녀가 부모의 집을 떠나는 것이 특정 연령대에 정해져 있다기보다는 취업이나 결혼 등의 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9999가구, 1만45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가족과 출산 조사'를 바탕으로 부모와의 동거, 경제적 자립 등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