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불법 공매도 엄단…이복현 금감원장 "조사전담반 설치"

펀드 상시 감시체계 고도화 등

3高 위기 속 유동성 관리 강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권역 CEO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권역 CEO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금융투자 업계 최고경영자(CEO)들과의 첫 만남에서 불법 공매도 엄단을 강조했다. 악재가 겹치며 흔들리고 있는 금융시장을 둘러싼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10개 증권사 및 7개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에서 “국내 경제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에 직면했고, 증권 산업의 건전성·유동성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울어야 할 것”이라며 “시장 불안에 편승한 투자자의 피해 유발 행위 등과 관련해 공매도조사전담반을 설치하고 불법 공매도 점검 및 조사를 강화하는 등 신속하고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또 내부자가 사익을 위해 회사나 투자자의 재산을 활용하거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불공정거래에 대해 사전 예방적 검사를 통해 선제적으로 차단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펀드 상시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펀드 관련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등 사모펀드 시장 감시체계를 견고히 해 제2의 사모펀드 사태 발생도 예방한다. 다만 이 원장은 “규제 총량 축소 기조하에 선택과 집중 방식의 사전 예방적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며 “시장과 산업의 리스크 요인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감독과 검사 업무의 규제 총량을 축소해나가겠다”고 했다.

이 원장은 대외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유동성 리스크를 특별히 당부했다.



그는 증권사의 경우 단기 시장성 차입으로 조달한 자금을 채권에 투자하는 조달과 운용 간 만기 미스매치에 따라 유동성 위기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금리 상승으로 인한 보유 채권 손실에 대비해 채권 포지션, 듀레이션 관리 등 건전성도 선제적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며 “글로벌지수 급락 시 주가연계증권(ELS) 자체 헤지 마진콜에 대비해 외화유동성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자산운용사는 자금 유출입 변동성이 큰 머니마켓펀드(MMF)와 개방형 펀드 중심으로 펀드 유동성 현황을 수시 점검해달라고 지시했다.

관련기사



부동산 자산 부실화 및 우발 채무 리스크도 다뤄졌다. 이 원장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채권 등 부동산 자산 부실화, 채무보증 등 우발 채무가 현실화할 수 있다”며 “금융회사 간 상호 연계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부동산 유동화 증권 차환 실패는 금융시장 내 리스크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어 개별 회사에 맞는 시장 충격 시나리오별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해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10개 증권사(미래에셋·한국투자·삼성·KB·메리츠·키움·신영·이베스트·SK·JP모간)와 7개 자산운용사(신한·한화·우리·다올·마스턴·DS·이스트스프링) CEO가 참석했다.

이복현(앞줄 왼쪽 여섯 번째) 금융감독원장과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 등 금융투자 업계 대표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권역 CEO 간담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복현(앞줄 왼쪽 여섯 번째) 금융감독원장과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 등 금융투자 업계 대표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투자권역 CEO 간담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