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 리모델링…"AI 등 첨단 장비 탑재"





경찰이 112치안종합상황실을 인공지능(AI) 등 첨단 장비가 탑재된 공간으로 재설계한다.

경찰청은 최근 '112치안종합상황실 공간 표준화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치안상황실을 시대 변화에 맞게 새롭게 설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112시스템과 무전기 외에도 무기고, 압수물 보관소, 비상벨 등 장비가 있고 다양한 직원이 출입하는 만큼 유사시 신속하고 정확한 운용을 위해 구조·공간적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2017년부터 긴급사건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 스마트시티센터로부터 발생지 근접 5개 폐쇄회로(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주시하고 지난해부터는 순찰차에 카메라를 설치해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상황을 지휘하고 있다.경찰은 "'듣는 112'에서 '보는 112'로 상황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그에 맞는 상황실 공간을 구성하고 설계 표준화를 마련해 경찰서를 새로 짓거나 개축할 때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아울러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4차 산업혁명이 융합된 치안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다.

이 밖에 직원들이 긴급 사건 지휘 등으로 항상 고도의 긴장 상태에서 근무하는 만큼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색감과 공간 배치 등으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휴식 공간도 충분히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국외 경찰 상황실 설치 기준과 우수 공간 활용 사례를 찾고 국내 전국 경찰서의 112상황실 공간구성 현황을 파악해 개선 모델까지 도출하는 게 목표다.

경찰은 "상황실, 근무 인원, 정보시스템, 구비 장비 등에 따른 관서(급지)별 특성에 따라 공간 구획과 동선을 적용해 긴급 상황 발생 시 총괄 지휘 체제 가동과 동시에 신속하게 긴급상황관리 업무로 전환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