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상주수암종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예고





경북 상주시는 서애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셋째 아들 수암 류진(柳袗, 1582∼1635)을 모시는 종가인 수암종택(尙州 修巖 宗宅)이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됐다고 29일 밝혔다.




수암종택은 속리산, 팔공산, 일월산의 지맥이 모이고, 낙동강과 위천이 합류하는 중동면 우물리에 있는 명당으로, ㅁ자형 본채를 중심으로 별동의 녹사청과 사당이 있다.


안채와 사랑채가 하나로 이어진 ㅁ자형 본채는 경북 북부지방 건축 특징을 반영하고, 안채 대청 마루방의 지면을 들어 올려 누마루처럼 꾸민 점은 희귀한 구조다. 또 안채 대청 상량묵서에 건립연대가 명확히 남아있고 비교적 원형이 보존돼 있다.

관련기사



이밖에 본채 남쪽의 ㄱ자형의 녹사청은 수암 류진의 7대손인 류후조(柳厚祚, 1798∼1876)가 봉조하(奉朝賀, 조선시대 전직 관원을 예우하여 종2품의 관원이 퇴직한 뒤에 특별히 내린 벼슬)를 제수받은 후 관리들을 맞거나 묵게 하는 용도인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건물이 민가로 남아있는 것이 희소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수암종택에서는 불천위제사, 기제사, 묘제 등 제례문화가 전승되고, 녹패, 간찰, 문집 등 고문헌과 등롱, 가마, 관복 등 민속유물이 남아있어 조선시대 중·후기 지역 상류사회 생활문화를 잘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30일 예고기간에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상주=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