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도로건설·관리계획 수립…도심 고가도로 철거 계획도 검토

최적 도로망 구축 위한 34개 개별도로사업 구축 계획


부산시는 시 최상위 도로계획인 ‘부산광역시 도로건설·관리계획’을 수립하고 29일 고시했다. 이 계획은 도로법에 따라 도로관리청이 소관 도로에 대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직전 계획은 2017년 12월에 고시된 바 있다.

이번에 수립된 부산광역시 도로건설·관리계획(2021~2025)은 경제성장을 지원하는 도로건설 및 관리 계획, 시민중심의 쾌적한 도로 서비스 제공,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 미래지향적 도로 구현 등을 4대 목표로 설정했다. 계획 달성을 위한 중간목표연도는 2025년이며 장기 도로망 구축을 위한 최종목표연도는 2040년이다.



부산시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도로망 체계는 순환도로망 4개에 동서 7개 축과 남북 7개 축의 격자형 도로망을 구축하고 4개의 보조축으로 이를 보완함으로써 지역 간 균형발전 및 글로벌 메가시티 완성을 이끌 계획이다.

시는 중·장기적인 34개 개별도로사업(연장 155km, 사업비 12조 6000억원)을 도로건설·관리계획에 담아 도심 내 교통혼잡해소를 통한 ‘15분 도시 부산’을 견인하고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등 시의 메가프로젝트와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 등 광역화에도 대비했다.



구체적으로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부지인 북항재개발 사업지와 가덕도신공항을 연결하는 기존 승학터널, 엄궁대교 계획에 더해 부산신항~김해 간 고속도로 가덕도신공항 연결도로와 제2해안순환도로(가덕도~사하구~영도구~남구~해운대~기장군)가 이 계획에 담겼다. 오시리아 관광단지 등 동부산권의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송터널 및 해운대터널도 계획에 포함됐다. 이외에도 북항과 경부·중앙 고속도로를 직접 연결하는 지하도로망 사업과 주요 교차로에 대한 교통체계개선사업 등도 계획됐다.

관련기사



부산광역시 도로건설관리계획 주요도로망./사진제공=부산시부산광역시 도로건설관리계획 주요도로망./사진제공=부산시




시는 시내 37개 고가도로 중 시설물 상태, 주변개발계획 및 교통여건 등을 고려해 7개 고가도로에 대한 철거계획을 검토했다. 동서고가는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인 사상~해운대 민자고속도로사업 완료 시 사상에서 진양사거리 구간은 철거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고 진양사거리에서 감만동까지의 동서(우암)고가와 문현고가는 기존 교통량을 흡수할 수 있는 대체도로를 확보한 후에 철거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충장고가와 영주고가는 북항재개발사업 계획에 포함해 철거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철거 시 북항재개발 및 2030부산세계박람회의 원활한 추진을 도모할 것으로 전망됐다. 부암고가와 대영고가도 각각 지하차도 건설과 교차로 개선이 선행되면 철거가 가능할 것으로 검토됐다.

다만 철거를 검토한 7개 고가도로를 포함한 전체 37개의 고가도로의 관리상태가 양호하고 사용상 문제가 없으며 고가도로 철거 특성상 경제적 타당성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시는 경제성 분석에서 계량화가 어려운 시민 이동편의와 지역 간 소통증진 등의 편익을 고려해 개별사업에 대한 타당성 확보와 우선순위 등을 정한 다음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에 수립·고시하는 부산시 도로건설·관리계획을 바탕으로 ‘15분 도시 부산’을 실현하고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가덕신공항’ 등 부산시의 메가 프로젝트를 견인하겠다”며 “글로벌 메가시티 친환경 스마트 미래도로 구축이라는 이번 계획의 비전을 실현해 부산시민이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