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濠·日 등 10명 중 8명 이상 “중국 싫다”… ‘반중 여론’ 확산

퓨리서치, 19개국 2.4만명

'중국의 이미지' 조사 결과

인권탄압·군사위협 영향

한국도 80%가 "부정적"

사드 보복후 인식 나빠져


미국인과 한국인 10명 중 8명이 중국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나타내는 등 국제사회에서 반중 여론이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FP통신은 29일(현지 시간) 여론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올해 2월부터 이달 초까지 19개국 국민 2만 4525명을 대상으로 중국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중국에 대해 부정적 인상을 가졌다고 답한 미국인은 전체의 82%로 전년 조사(76%)에 비해 6%포인트 늘어났다. 한국인도 전년(77%)보다 많은 80%의 응답자가 부정적 시각을 보였다. 독일·캐나다에서도 응답자의 74%가 중국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과 한국, 독일과 캐나다에서 중국을 부정적으로 보는 비율은 역대 최고치였다.

관련기사



이 밖에 일본의 반중 여론은 87%로 지난해(88%)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호주와 스웨덴도 각각 86%와 83%가 중국과 관련해 부정적 답변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퓨리서치센터는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중국의 군사적 위협이 부각되는 가운데 인권 탄압과 함께 코로나19의 진원지라는 사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2017년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 보복이 이뤄진 후부터 반중 여론이 급격히 높아졌다는 것이 퓨리서치 측의 분석이다.

호주의 반중 여론이 급증한 것도 중국의 경제 보복 이후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된 것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전통적으로 중국과 우호 관계였던 국가에서도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늘어났다고 퓨리서치센터 측은 전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