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車 판매량 줄어드는데…현대차 노조 "순익 30% 성과급 달라"

■ 71%로 파업 찬성

미래차 국내 공장 신설 등 요구

'강성 집행부' 파업 강행 가능성

복합위기 속 추가 생산차질 우려

현대차 노조가 1일 올해 임협 교섭 난항으로 파업 찬반 투표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현대차 노조가 1일 올해 임협 교섭 난항으로 파업 찬반 투표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4년 만의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으로 완성차 판매량이 감소하는 복합 위기 상황을 노조만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차지부가 1일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파업 찬반 투표는 71.8%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중앙노동위원회가 4일 예정된 회의에서 노사 간 이견이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면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에 나설 수 있다.

관련기사



노조가 파업권을 확보해도 곧바로 파업에 돌입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업권을 무기로 사측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의견 조율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어서다. 하지만 노사가 대부분의 안건에서 큰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어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에서 기본급을 16만 5200원(호봉 승급분 제외) 인상하고 지난해 순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신규 인력 충원, 정년 연장, 임금피크제 폐지, 고용 안정, 미래차 국내 공장 신설 역시 요구안에 넣었다.

업계에서는 현대차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요구안 자체가 사측의 수용 범위를 넘어섰고 집행부도 강경 성향으로 채워져서다. 올해 임기를 시작한 안현호 지부장은 강경 성향으로 교섭의 조속한 타결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현대차 노조는 실리 성향의 지도부가 들어선 2019~2021년에는 파업을 하지 않았지만 강성 지도부가 집권한 2012~2018년에는 7년 연속 파업을 벌였다.

업계에서는 복합 위기가 다가오는 상황을 노조가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미 현대차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로 생산에 어려움을 겪으며 지난해 대비 7.6% 감소한 상반기 완성차 판매 실적을 받아 들었다. 여기에 노조의 파업까지 벌어지면 추가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조사에서도 제조 기업의 27.5%가 파업 등 물류·운송 리스크에 따른 공급망 문제로 피해를 봤다고 응답했다.


유창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