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하반기 중기전망지수 전년 동기 대비 큰폭 하락

'中企경영애로 및 2022년 하반기 경기전망'

87.6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포인트 하락





하반기 중소기업전망지수가 큰폭으로 하락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을 비롯해 내수 침체, 금리인상 등으로 인해 지난해 하반기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2년 하반기 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하반기 경기전망지수(SBHI)는 전년 동기 대비 4.0p 하락한 87.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상반기 대비해서는 5.6p 올랐지만, 지난해 하반기 경기전망지수 91.6, 상승폭 14.0p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았다.

관련기사



제조업에서는 △기타 운송장비(127.3) △가죽,가방및신발(104.6) △인쇄및기록매체 복제업(100.0)이 호전을 예상한 반면, △펄프,종이및종이제품(54.2) △섬유제품(54.2) △전기장비(68.2) 업종은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서비스업은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112.0) △운수업(100.0)이 업황개선을 전망한 반면, △부동산업및임대업(60.0) △도매및소매업(84.0) △수리및기타개인서비스업(86.0)은 부진할 전망이다.

상반기 애로요인으로는 원자재가격 상승(62.6%)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 내수부진(35.2%), 인력 수급난(29.8%), 금리상승(25.2%), 최저임금 상승 (22.8%) 등이 뒤를 이었다.

하반기 예상되는 애로요인역시 상반기와 비슷했다. 원자재가격 상승(58.8%), 내수부진(31.2%), 인력 수급난(29.8%), 금리상승(28.4%), 최저임금 상승(19.4%)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하반기에 원자재 가격 상승(3.8p)과 내수부진(4.0p) 응답 비중은 감소한 반면, 금리상승은 3.2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만 잡히면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으나,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신3고’에 더해 글로벌 경기둔화 등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돼 중소기업 체감경기는 지난해보다 크게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중소기업의 활력회복을 위해서는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세제 개선, 금융지원 강화 등 경제활성화 조치와 더불어 과감한 규제개선으로 기업활동의 장애물을 걷어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