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탄바이러스 발견’ 이호왕 고려대 이호왕 명예교수 별세…향년 94세

5일 숙환으로 별세…고대안암병원에 빈소 마련

유행성출혈열 병원체·면역체 세계 최초로 발견

故 이호왕 고대의대 명예교수. 사진 제공=고려대의료원故 이호왕 고대의대 명예교수. 사진 제공=고려대의료원




유행성 출혈열의 원인인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한 이호왕(94) 고려대 명예교수가 5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1928년 함경남도 신흥에서 출생한 고인은 바이러스의 병원체와 진단법, 백신까지 모두 개발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며 한국을 대표하는 의학자 겸 미생물학자로 평가받는다.



고인은 고대의대에 재직 중이던 1976년 3월 경기도 동두천 한탄강 유역에서 채집한 등줄쥐의 폐 조직에서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 병원체와 면역체를 발견했다.

관련기사



유행성출혈열은 당시 정체불명의 괴질로 유명했는데, 이 교수는 자서전에서 1, 2차 세계대전 때 군인 수천 명이 유행성출혈열로 목숨을 잃었고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 3200명도 이 병을 앓았다고 적었다. '한탄바이러스'란 명칭도 그가 병원체 바이러스를 발견한 장소의 이름을 따 지은 것이다.

그는 1989년 세계 최초로 유행성 출혈열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이듬해 유행성 출혈열 예방백신인 '한타박스' 개발에도 성공했다. 바이러스의 병원체와 진단법, 백신까지 모두 개발함으로써 의학발전과 인류 건강복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때 노벨생리의학상 후보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바이러스의 병원체와 진단법, 백신까지 모두 개발함으로써 의학발전과 인류 건강복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때 노벨생리의학상 후보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고인은 195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으로 유학해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의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3년 고대의대에 부임해 의과대학장을 지냈고, 1982년 세계보건기구 신증후출혈열연구협력센터 소장, 2000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장 등을 거쳤다. 또한 미국 최고민간인공로훈장(1979년), 인촌상(1987년), 호암상(1992년), 태국 프린스 마히돌상(1995년), 일본 닛케이 아시아상(2001년), 과학기술훈장 창조장(2002년), 서재필의학상(2009년) 등을 수상했다. 2018년에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로 추대됐으며, 미국 학술원(NAS) 외국회원, 일본 학사원 명예회원으로 선정됐다.

고인의 빈소는 고대안암병원 장례식장 303호에 마련됐다. 발인은 7일 오전 11시 50분, 장지는 서울추모공원이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