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4년 만에 6%대 물가쇼크] 이달 전기·가스료 인상도 인플레 부추겨…"물가 정점 멀었다"

[체감물가는 7.4% 폭등…서민경제 '휘청']

감자 38%·배추 36%·닭고기 20%↑

경유 51%·휘발유 31% 등 상승세 여전

유류세 추가 인하효과 기대 어렵고

이달 공공요금 줄인상 후폭풍 시작

S&P "韓물가 올해 5% 상승" 전망

한은 '빅스텝' 단행 가능성에 힘실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6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7.4%나 뛰었다. 1998년 11월(10.4%) 이후 2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서민 일상과 직결된 생활물가지수는 2월 4.1%에서 5월 6.7%, 6월 7%대 등 급격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만큼 서민들이 고물가의 직격탄을 맞고 있음을 시사한다.



당장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다. 신선채소·과실 등의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4% 오르며 전달(2.5%) 대비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품목별 상승률을 보면 감자 37.8%, 배추 35.5%, 수입 쇠고기 27.2%, 닭고기 20.1%에 달했다. 안 오른 품목이 없을 정도다.
등유(72.1%), 경유(50.7%), 휘발유(31.4%) 등 석유류 가격 상승세도 여전했다. 이달에는 정부가 1일부터 단행한 유류세 추가 인하 효과가 반영된다고 하지만 인하 폭이 미미해 물가 상승세를 꺾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중론이다. 특히 이달에 전기·가스 요금이 추가로 인상되는 판에 폭염까지 극심해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는 점도 부담이다. 실제 6월 전기·가스·수도 요금도 1년 전보다 9.6% 올랐는데 4~5월 요금 인상의 영향을 받았다. 그런 만큼 7월 이후 공공요금이 고물가를 더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 실제 시장에서는 앞으로 물가 상방 압력이 거세지면서 6%를 넘어 7%대 물가상승률을 기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어윤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도 ‘물가상승률이 7~8%까지 갈 수 있느냐’는 질문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답했다. 물가가 이미 심상치 않지만 아직 정점이 오지 않았을 수 있다는 의미다. 더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하반기 내내 이어진다면 상승 폭이 예상을 웃돌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서비스 요금도 갈수록 오르고 있다. 개인 서비스는 5.8%, 공공 서비스는 3.9%가 올랐다. 개인 서비스 가운데 외식물가의 경우는 8%나 올랐다. 서울 송파구에 거주하는 한 40대는 “집에서 청소 대행 서비스를 자주 활용하는데 최근 청소 업체가 가격을 13% 올린다고 알려왔는데 올린 가격을 6월 서비스까지 소급해서 적용한다고 밝혀 깜짝 놀랐다”며 “고물가를 실감한다”고 혀를 내둘렀다.



향후 물가 전망도 점점 암울한 톤으로 바뀌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최근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3분기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5.0%로 제시했다.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이어지고 있고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봤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6월 한국의 올해 물가상승률을 4.8%로 점친 바 있다.

관련기사



이 때문에 13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진단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한은이 물가 안정을 최대 목표로 삼고 있는 만큼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굳어지는 분위기이지만 경기 침체도 의식할 수밖에 없어 인상 폭에 관심이 모이는 상황이다.

KB증권은 이날 통계청 발표 뒤 낸 보고서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가운데 물가 상승세도 가팔라지고 있다”며 “한은이 7월 금통위에서 0.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핵심 소비자물가도 4.4% 오르면서 상승률이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수요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도 높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노무라증권은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까지 1.25%포인트의 누적된 금리 인상으로 금융 여건을 빠듯하게 해온 데다 현 단계에서 급격한 금리 인상은 가계의 재정 부담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노무라증권은 “글로벌 성장 전망이 가파르게 악화하면서 정부는 한 달 전 ‘가격 안정’을 유일한 목표로 제시한 것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다”며 7월 금통위에서 빅스텝 가능성을 35∼40%로 제시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대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현재 정부에서 내놓을 수 있는 정책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금리 인상이 중요하지만 경기 침체 우려에 이것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