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소나무 3.8만 그루 효과' 삼성전자, 제품 수리 후 포장재에 친환경 소재 확대

배송용 박스·테이프 친환경 소재 전환

수리 후 고객에게 보낼때도 친환경으로

박스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로 재활용

삼성전자의 수리 후 배송박스를 거치대로 만들어 활용한 모습. 사진제공=삼성전자삼성전자의 수리 후 배송박스를 거치대로 만들어 활용한 모습.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005930)가 제품 수리용 서비스 자재 배송 시 사용하는 포장재에 친환경 소재를 확대 적용한다고 6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달부터 생산공장에서 국내 서비스센터로 보내는 서비스 자재의 배송용 박스와 테이프를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고 있다. 이날부터는 완충재(에어백)와 지퍼백(PE백)에도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다. 완충재는 종이 완충재(벌집형·구김형), 지퍼백은 재활용 합성수지 5% 이상을 포함해 친환경 국제인증(RCS)을 받은 제품을 사용한다.



해외 서비스센터에서 수리 후 고객에게 보내는 제품의 배송 박스도 지난해 10월부터 친환경 소재로 대체를 시작했다. 향후 전 세계 31개국 주요 서비스 센터에 이를 적용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8월까지 친환경 포장재를 모든 글로벌 서비스센터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326톤의 탄소 배출 감축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30년생 소나무 약 3만 8000여 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양이다.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제품 배송 박스는 사용 후 다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적용했다. 박스 내부의 QR코드를 통해 배송 박스를 모바일 기기 거치대로 조립하는 동영상 설명서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지난 6월부터 180개국 서비스센터에서 고객에세 제공하는 영수증, 명세서 등 종이 인쇄물을 전자문서로 발급하는 ‘페이퍼 프리’ 시스템도 적용했다.

김형남 삼성전자 글로벌 CS센터 부사장은 “고객 서비스 영역에서 환경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며 “고객 만족과 친환경 가치를 모두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